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고 있는 20대 한국 청년들의 가치관의 변화를 소개한다. 또한 전통적으로 “성인 됨”의 기준으로 여겨져 왔던 결혼, 취업, 경제적 자립 등과 같은 생애발달과업들이 점점 늦춰지고 있다고 주장한 아넷(Arnett)의 "성인 발현기" 이론에 근거하여 20대 청년들의 생애발달을 “성인초기”에서 “성인 발현기” 즉 “성인 됨”을 준비하는 “성인준비기”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성인 됨”의 사회적 지표로 간주되어왔던 결혼, 취업, 출산, 부모로부터 독립하는 연령이 현재 30세 전후로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이 연구의 대상을 한국의 20대(20-29세)로 제한한다. 이 연구는 통계청을 비롯한 여러 사회단체들과 종교단체들이 제시한 20대 청년들의 사회지표들과 종교지표들을 근거로 청년들의 가정형성준비요구, 직업선택 및 취업요구, 관계형성요구, 그리고 봉사활동요구를 분석하고, 그러한 20대의 요구들을 반영하는 교회교육과정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change of traditional value of Korean twenties who are living in the post-modern society. According to Arnett’s theory that the developmental task of today's twenties is gradually delayed, today's twenties are not in the early adulthood but in "the emerging adulthood" which prepares for independence, interdependence(relationship), role-transition, norm compliance, and family capacity. Most of Korean twenties do not yet marry and not get the full time job and financially still depend on their parents. It means that they have needs for marriage, employment, and interdependence. On the basis of social and religious indicators, this study analyzes needs of family formation, employment, relationship, and voluntary service of Korean twenties in the emerging adulthood. This study finally suggests the necessity of church curriculum development which reflect and responds to the need-analysis of Korean twen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