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입시위주 획일화된 교육으로 인한 인성과 지성의 불일치, 학교폭력과 집단따돌림 등의 문제의식으로 인해 그 필요성이 대두된 인성교육의 주요목적은 타인과 원만한 관계를 맺고 더불어 살도록 하는 기본기를 함양하는 것이며, 이는 남한의 일반 학생들뿐만 아니라 남한 땅에서 새로이 뿌리를 내리고 살아가야 하는 탈북청소년들에게도 동일하게 요구되는 과제이다. 꾸준히 유입되는 북한이탈주민으로 인해 탈북청소년의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들의 학업 부적응과 이로 인한 높은 이탈비율은 새로운 교육적 대안을 요청하고 있다. 탈북청소년의 교육 부적응의 원인은 그들의 특수한 배경과 경험에 기인하며, 이에 대하여 기독교 대안교육은 탄력적 교육과정이라는 대안성은 물론, 기독교적 사랑과 헌신으로 조명된 교사진의 다문화역량을 통하여 그들을 수용할 수 있다. 기독교적 인성교육은 학습의 최접점에서 탈북청소년들과 기초관계를 맺는 중요한 주체인 교사진으로 하여금 탈북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포함으로 하는 다문화 지식과 기능을 갖추고, 자신의 문화에 대한 반성과 다양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다문화감수성과 효능감을 가지고 탈북청소년들과 인격적인 관계를 맺도록 한다. 교사의 다문화역량이 탈북청소년들에게 내재된 하나님의 형상회복을 돕는 사랑의 섬김이라는 실천으로서 기능할 때에 인성교육은 남, 북한의 학제차이와 탈북과정의 학습결손, 문화와 언어의 차이, 각기 다른 배경과 경험 등으로 인해 학업의 어려움을 겪는 탈북청소년들의 학교만족도와 학업성취도를 제고할 것이며, 지속적인 관계를 통한 자신감 부여는 탈북청소년들이 장기적 관점에서 건강한 시민으로서 남한사회에 적응하는 기반이 될 것이다. 기독교 대안교육을 통한 탈북청소년의 인성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여론수렴을 통한 공동체적 합의 도출이 요청되며, 학교별, 교회별, 지역별, 교단별 기독교 인성교육 프로그램의 시행을 통해 저변을 확대함으로써,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하고 투입하는 노력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되어야 한다. 그리하면 탈북청소년은 통일의 전령으로 훌륭히 기능할 수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is newly emphasized due to the discord between character and intelligence as well as school violence and bullying, is to inculcate values, attitudes, and skills in students in order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number of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has greatly increased as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has drastically increased in South Korea. Their school dropouts, however, require an alternative educational approach. The main reason for their dropouts is their special background and experiences. Through character education equipped with Christian love and serving,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will learn to be responsible to family and community and to be good individuals and useful citizens. 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can embrace them with a flexible curriculum and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teachers, combined with Christian love and dedication. Teachers play a crucial role because they are a point of contact for students. If teachers practice an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competence as a way to realize students’ potential as image-bearers of God, the following results should be expected.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will enhance students’ academic accomplishments and give self-confidence for their further growth. Second, the 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will settle in South Korea as citizens and function as human resources for the task of the unification of Korea. To achieve this goal, we have to, first, establish areas of agreement in public opinion; second, expand the base of the program by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the school, church, and the local community arenas; and, finally, continue to obtain and invest i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with a long-term point of view in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