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종교 사회화과정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을 탐구한다. 종교 사회화는 종교라는 영역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가능성, 문화의 전승 그리고 연령에 따른 신앙발달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발생시킨다. 기독인 사회화 과정 안에서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관계는 신앙의 여정을 함께하는 파트너적이고 수평적인 관계에서의 하나님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관계적인 존재로 생각되어야 한다. 우선 종교사회화는 어떻게 가능할 것인가?를 질문한다. 자녀의 양육과 교육, 돌봄과 세움은 고유한 부모세대의 책임과 의무로 생각한다. 기독교적인 종교 사회화의 가능성은 기독인 부모와 교회의 의식의 확장을 통하여 가능하다. 기존의 지교회 중심과 기독인 부모의 의식의 전환은 기독인 전 삶의 영역에 대한 하나님 나라적인 관점을 통하여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기독인 부모의 신앙과 삶의 행동양식에 대한 성찰을 논의한다. 기독인 부모의 신앙의 유형과 삶의 행동양식에 대한 성찰은 신앙의 내용에 대한 실천적 행동 가능성에 대한 질문이 핵심이다. 복음에 대한 앎의 차원과 신앙의 실천적 차원간의 일치와 상이함은 기독인 부모들의 의식과 행동양식을 통하여 나타나기 때문이다. 셋째, 종교 사회화과정을 위한 기관들의 역할을 논의한다. 즉, 가정과 교회, 학교와 사회에서의 기관들의 역할과 책임을 논의한다. 하나님의 자녀는 원론적인 면에서 태어나 자랄 때부터 하나님의 자녀로서 배우고 익히며, 생각하고 행동하며, 헌신하고 봉사해야 한다.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필요한 것은 세속에 속한 가치관과 삶의 목표가 아니라 오직 성경에서 말씀하시는 하나님의 자녀로서의 가치관과 삶의 목표를 지향하면서 세속적인 삶의 가치관들을 극복해야 하는 것이다. 넷째, 종교 사회화 과정에서의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에 대한 성찰이다. 기독인 부모와 자녀가 인생의 전 과정에서 서로 협력하고 상의하며, 삶의 태도와 가치를 공유해야한다. 부모와 자녀가 하나님의 공동체를 지속적으로 형성하고 지향하는 것은 하나님 형상에 대한 새로운 이해에 근거한다. 다섯째, 부모와 자녀의 관계적 상호작용을 위한 내용적 성찰이다. 기독인으로서의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적 관계는 한 하나님의 자녀로서 동시적으로 부르심을 받았다는 사실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논의는 에베소서 4장-6장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신앙인으로서의 개인과 공동체의 정체성과 역할을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종교사회화에 대한 논의는 현재의 한국교회의 위기에 대한 새로운 방향으로의 방향설정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reflection of the interaction of parents and children in religious socialization. Religious socialization generates a broad discussion on faith development according to a variety of learning possibilities, traditions and culture of the age that may occur in the area of ​​reli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in the Christian religious socializ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related being to orient God's community in partners and horizontal relationships within the journey of faith together. Prioritly, the Question is, how can be able to religious socialization?. Children's nurture and education, care and erecting think with the responsibilities and duties of parents. The possibility of a Christian religious socializ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and churches. And the conversion of existing regional centered church and consciousness of Christian parents could occur through the kingdom perspective for the area of ​​all Christian life . Second, we discuss the behavior of reflection on the faith and life of the Christian parents. The Reflection on the behavior type of the faith and life of the Christian parents is a key question about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ctions on the contents of faith. A correspondance and difference between the dimension of the knowledge and the practical dimension of belief in the gospel is due to appear through the consciousness and behavior of Christian parents. Third, we discuss the role of institutions for the religious socialization. We discuss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institutions in homes and churches, schools and society. The children of God in principle should be learn, practice, think, act, devote, serve as the children of God, when they grow up from birth. The children of God should not be pursued the goal of life belonging to the secular values. They must be overcome the values ​​of secular life through a target-oriented values ​​and life as a child of God who speaks in the Bible. Fourth, we discuss a reflection on the interaction of parents and children in religious socialization. Christian parents and children must cooperate and consult each other, share the attitudes and values of life. The parents and children continuelly to orientation a community of God based on a new understanding of the image od God. Fifth, we discuss the Reflection on contents for interactions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The related interaction as Christian parents and childs occurs at the fact that the simultaneously calling as a child of God.These discussions were summarized the role and identity of believers as individuals and communities around the information shown in Ephesians chapter 4 -6. Finally, the discussion on religious socialization is the orientation of a new direction for the current crisis of the Church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