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기독교대안학교에서 수업개선을 위해 소규모의 교사공동체가 수업을 공개하고 참관한 후, 집단적 수업반성 또는 대화를 하고 그것이 교사의 수업개선과 전문성 향상에 주는 시사점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15년 된 M기독교대안학교 교사 아홉 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참여교사 중 6명의 교사가 수업을 공개하고 수업 후 반성적 대화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절차는 연구목적 과 방향 소개하기, 수업공개 전 수업지도안 작성하여 올리기, 날짜를 정하여 수업공개하기, 수업참관 및 수업영상 보고 수업 후 대화 준비하기, 다음으로 함께 모여 수업에 대한 반성적 대화 나누기로 진행되었다. 이때 수업 후 대화의 과정은 수업공개 교사의 자기반성 이야기, 관찰자의 인상 깊은 점 나누기, 궁금한 점 과 더 생각해 보아야 할 주제들을 중심으로 대화가 진행되었다. 수업대화의 전체 과정은 녹음기를 사용하여 녹음하였다. 녹취된 수업대화 자료는 모두 전사하여 문서화 하였고, 자료의 내용에 따라 유목화하고 질적 연구 방법에서 자료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각 영역에 나타난 대화의 내용과 특징을 분석하여 수업공개 교사의 자기반성에 나타난 내용과 특징, 관찰자가 인상 깊게 본 수업의 내용과 특징, 수업대화에서 제기된 질문에 나타난 내용과 특징, 수업대화의 대답에 나타난 내용과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고 그것이 교사의 수업개선과 전문성개발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for teaching improvement by the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collective reflection on their teaching. For this purpose nine teachers in a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at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x of them opened their classroom teaching. The study is proceeded in introducing of the purpose of the study, preparing and up loading a lesson plan before teaching, preparing some reflective discussion points after observation of the opened classroom and its video, and sharing together their reflections about the teaching. The process of the reflective discussion time is proceeded as follows; a self reflection of the teacher opened his or her class teaching. sharing some impressive things observed by the participant teachers. and discussing about questions and topics to be discussed more in depth about the classroom teaching. The sharing and discussions is recorded by the use of recorder. It is transcribed into the research document. The content of the document is analyzed by the use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very practical problems in teaching is raised at the teachers reflective discussion and it helped the participant to see the focused teaching through different perspectives and understand it in depth. The reflective discussion also helped the participant teachers to have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 teaching ability by seeking better teaching practices by the collective discussion from the actual teaching context.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superficial discussion found in the traditional evaluation of teaching by an outside consultant based on the objective teaching stand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