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옥환기봉>의 인물 구성은 세 남녀의 삼각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들이 형성하는 관계가 일방적이거나 도식적이지 않아 인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의 여지를 제공한다. 이것은 <옥환기봉>이 연작을 파생하게 하는 원동력이 된다. <도앵행>은 삼각관계에서 주원성이라는 남성인물을 배제하고 그 자리에 주당을 배치함으로써 남녀의 애정 문제가 아닌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에서의 명분론을 문제 삼고 있다. 주당에 대한 재평가를 시도함으로써 <옥환기봉>이 보여준 역사적 인물에 대한 관심을 잇고 있으며 여성의 부덕을 강조함으로써 다소 보수적인 시각을 견지한다. <취미삼선록>은 삼각관계에서 여성들끼리 적대적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이 두 여성이 남편과의 관계에서만 갈등을 일으킴으로써 부부 갈등을 핵심으로 다루게 된다. 그 과정에서 부부의 문제 이면에 있는 자녀의 문제를 부각시키고, 다양한 여성관계를 통해 남성의 빈자리를 채워나간다. <한조삼성기봉>은 삼각관계를 확대하여 사각관계를 형성한다. 그 결과 갈등은 심화되지만 관계가 단순하고 인물은 선악에 치우치게 되면서 작품은 통속적 흥미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옥환기봉>에서 <도앵행>, <취미삼선록>을 거쳐 <한조삼성기봉>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음후에 대한 긍정에서 곽후에 대한 옹호로 시각의 전환을 이루게 된다. 이 연작은 연작 창작을 통해 원작의 관심을 잇기도 하고 그에 반론을 제기하기도 하여 그 자체로 하나의 담론을 형성하고 있으며, 조선 후기 소설사에서 만날 수 있는 다양한 관심사를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In Okhwangibong, there are three characters, involved in a triangular love affair. Their relations, however, are not simple or stereotyped. Thus, there are rooms to interpret each character in varied ways and it causes many derivations of Okhwangibong. In case of Doaenghaeng, Ju Won Seong is excluded from the love triangle and Ju Dang takes the place. By doing so, the focus is given to the moral duty between father-in-law and daughter- in-law, instead of a man-woman relationship. Doaenghaeng follows the historic characters seen in Okhwangibong through the reanalysis of Ju Dang and sticks to the male-centered view by stressing the woman's lack of virtue. In Chuimisamseonrok, the two women do not hostilely rival each other in love. Instead, each woman causes conflicts in relations with the husband, and thus the main focus is given to conflicts between husband and wife. In course of these conflicts, Chuimisamseonrok raises the matters of children hidden behind the marital problems and fills the vacancies of a husband through dynamic women's relations. In Hanjosamseonggibong, the triangular relation develops into a quadrangular love affair. In result, each relation becomes simple and the characters are inclined to good and evil, though the conflicts among them are deepened. In addition, the lack of women's virtue is strengthened and the logic of the heavenly world continues. That is, Hanjosamseonggibong reproduces the formal themes of Okhwangibong and popularizes them. The derivative works of Okhwangibong build up their own discussions respectively by following the themes of the original work or raising objections. The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give the chances to meet various interests seen in the novels of the late Joseon Dynasty all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