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덴동어미화전가>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이 형상과 인식의 복합체가 예술이라는 명제에 소홀했다는 견지에서 이 연구는 기획되었다. 문학적 표현과 작품의 구조를 형상이라 규정하고 형상화의 현저한 양상을 검출하며 형상화를 통해 서술자가 전달하고자 부심한 메시지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데 연구의 주안을 두었다. 표기수단이나 체제가 통일성을 지향하는 언어 예술의 본질과 괴리를 보이며 율격 역시 상당히 혼란스런 모습이다. 하층 부녀들의 일상을 사실적으로 표현하겠다는 서술자의 의도의 발현으로 볼 수 있다. 가사는 서술자가 작품의 전편에서 진술을 주도하는 장르인데 텍스트는 현상화자들의 대화를 대폭 수용하여 현장감을 살리려 노력했다. 그러나 그 대화가 서술자의 통어를 받는 양상이어서 효과가 반감되고 있다. 인물들의 대화는 물론 새나 꽃 그리고 인물과 작품 구조에 이르기까지 복선기법을 활용하여 필연성을 제고했다. 작가의 글쓰기 역량을 짐작케 한다. 가사 장르의 고유 양식이라 할 교술은 물론 서정과 극 그리고 서사 양식을 모두 동원하여 해당 장르의 속성으로 거론되는 포괄성을 범례적으로 실현했다. 덴동어미의 반생을 지배하는 인생관은 ‘잘 살아 보자’였다. 그것을 성취하고자 네 번 결혼했고 갖은 수모와 고생을 참으며 억척스럽게 살았다. 그러나 병신 아들과 엿 행상이 그녀에게 남겨진 전 재산이었다. 세계가 불공평함을 깨달은 그녀는 태평심의 견지가 삶을 풍족하게 한다는, 삶의 의식과 태도를 바꾼다. 그녀의 이런 술회담은 화전놀이의 레퍼토리로 채택되었으며 급기야 구성원들에게 잠재했던 신분적 층위를 말소시켜 사회통합으로 이끌었다.


The results which this study achieved till now are intensively shown as followings: 1. In the aspects of the mean and system of code, the style and metric, and the like, the text discloses confusing. The narrator superficially take a serious view of the conversation of the inner speakers as well as entrusting the part of narrators while he intervenes their conversations in the other side. This phenomenon i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narrators intention which wishes to describe the lively actual too really and the genre's inherent custom of statement which the narrator takes care of the whole in the first viewpoint are together. 2. The text promotes the inevitability of the statement by the manifoldly utilizing underplot and adopts all mode of statement which is in the possibility of quotation. It answers elastically the period's change depending on the modification of the whajenga's traditional structure. It is a masterpiece because of actualizing the gusa's property very well. 3. Dendonguhmi's memoirs of half a lifetime which in the gist one adheres to the heart peace through the life time is more valuable than pursing higher position on the social and economics become a organ which fuses the whole member of whajennori into one.


The results which this study achieved till now are intensively shown as followings: 1. In the aspects of the mean and system of code, the style and metric, and the like, the text discloses confusing. The narrator superficially take a serious view of the conversation of the inner speakers as well as entrusting the part of narrators while he intervenes their conversations in the other side. This phenomenon is interpreted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 narrators intention which wishes to describe the lively actual too really and the genre's inherent custom of statement which the narrator takes care of the whole in the first viewpoint are together. 2. The text promotes the inevitability of the statement by the manifoldly utilizing underplot and adopts all mode of statement which is in the possibility of quotation. It answers elastically the period's change depending on the modification of the whajenga's traditional structure. It is a masterpiece because of actualizing the gusa's property very well. 3. Dendonguhmi's memoirs of half a lifetime which in the gist one adheres to the heart peace through the life time is more valuable than pursing higher position on the social and economics become a organ which fuses the whole member of whajennori into 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