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표준화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체제를 개발하기 위한 전 단계로 학습자 인터뷰 말하기 평가 실험과 담화 분석을 실시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지침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한국어 말하기 시험 평가 도구를 위한 모의 인터뷰 시험과 학습자 담화 분석을 실시하고 등급 기술과의 부합성 검증을 다음과 같이 시도하였다. 1) 한국어 학습자들의 말하기 평가 실험과 평가 담화 분석을 실시하였다. 2)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등급을 설정하고 등급 기술을 하였다. 3) 한국어 말하기 평가 범주와 평가 기준을 설정하였다. 4) 한국어 말하기 평가 모형을 제시하여 평가 도구 개발의 지침을 제시하였다.본고에서는 학습자 모의 인터뷰를 실시하고 전사하여 ‘과제 수행’ 분석, ‘주제 수행’ 분석, ‘내용의 구성’ 분석을 통해 단계적 기술이 적절한지를 보이고자 했다. 본고의 의의는 다음의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 말하기 실험 평가에서 학습자들은 연구자와의 인터뷰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상호작용에서 말하기 능력을 보여 주었으며, 분석적 평가가 지향하는 타당성과의 긴밀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담화 분석을 통해 본 연구가 설계한 평가 범주가 적절함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고에서 개발제시한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를 위한 모형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말하기 능력 평가의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말하기 교육을 위한 교수 및 학습 자료로 응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