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수남방옹(水南放翁) 정훈(鄭勳)은 16세기 말~17세기 초의 혼란한 시대를 살다간 향촌사족(鄕村士族)으로, 많은 국문 시가(詩歌) 작품을 남기고 있는 작가이다. 그의 시가 작품들에 대한 최근의 평가는 작품 외적 측면에서 주로 이루어졌는데, 향촌사족으로서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거나 정계 진출을 목적으로 지어진 다분히 의도적인 산물이라는 시각이 주를 이루었다. 이러한 견해들은 이 시기 국문시가 작가들의 향촌사족화 과정과 그 현실적 측면을 작품과 밀접하게 연결시켜 그 문학적 성취를 논의했다는 점에서 어느 정도 의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으나, 작품 문면에 나타난 일차적인 의미와 이를 통해 작가가 말하고자 한 궁극적 의도를 충분히 드러냈다고 보기는 어렵다.정훈의 시가 작품들은 그가 평소에 가졌던 현실에 대한 우환(憂患) 의식과 이를 반영한 창작 의식에서 표출된 문학 작품들로 볼 수 있다. 그는 인륜(人倫)을 중시한 인물로 이를 토대로 ‘우국지정(憂國之情)’의 노래들을 지었고, 당대의 혼란한 정치상과 그로 말미암은 정국의 파행을 밀도 높게 비판하기도 하였다. 또한 그러한 현실 속에서 지난날 자신의 포부를 펼치지 못해 고뇌하는 향촌사족의 면모를 보이기도 하였고, 그러한 자신의 처지를 우활(迂闊)하다고 표현하였다. 한편 혼란한 현실을 피해 자연에 귀의한 순수 처사(處士)적 삶을 동경하며 관념적 자연세계를 작품 속에서 그려내기도 하였다. 따라서 정훈의 시가 문학은 혼란한 시대상 속에서 ‘우환 의식’을 가지고 살아갔던 한 향촌사족의 현실 인식과 고뇌가 여러 문학 작품에서 형상화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정훈의 시가 작품에서, 그 이전 시기 시가 작품에서는 볼 수 없었던 문학적 역량이나 또는 그 이후 시기에 전개되는 다채로운 국문 시가의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이러한 문학작품의 양상들은 혼란한 시대를 살았던 당대 작가들의 모습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이는 17세기 시가사(詩歌史)의 경향과 관련지어 그에 맞는 합당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Jung Hun, dating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a Korean poet who wrote many works. Until now his works were perceived as intentional writings for his personal success and for improvement as a noble village family. However, it would be proper to view his works as literary works of art written on the basis of reality perception at that time. Looking at his poetry, it can be seen that he attached importance to humanity, some written with pure patriotism, and some written to express his own concerns living among a confusing era. In addition, through his works, he expressed his own feelings for himself of Uh hwal-ness(迂闊), and yearned for a life of living in nature. Therefore, it cannot be judged that his works were all intentionally made for a purpose. His works do not show an outstanding or diverse feature compared to periods before and after. However, it should be seen that such literary work of art honestly reflects the writers of the era, and proper evaluation is necessary.


Jung Hun, dating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early 17th century, was a Korean poet who wrote many works. Until now his works were perceived as intentional writings for his personal success and for improvement as a noble village family. However, it would be proper to view his works as literary works of art written on the basis of reality perception at that time. Looking at his poetry, it can be seen that he attached importance to humanity, some written with pure patriotism, and some written to express his own concerns living among a confusing era. In addition, through his works, he expressed his own feelings for himself of Uh hwal-ness(迂闊), and yearned for a life of living in nature. Therefore, it cannot be judged that his works were all intentionally made for a purpose. His works do not show an outstanding or diverse feature compared to periods before and after. However, it should be seen that such literary work of art honestly reflects the writers of the era, and proper evaluation is neces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