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면앙의 한시 유산 중 누정시가 40% 이상을 점유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이 연구는 그의 가사 <면앙정가>와 면앙이 생전에 창작한 시문, 특히 누정시와의 상관성을 탐색하고 <면앙정가>의 구조 및 그것을 규제하는 세계관의 구명에 주력했다. 4음보를 한 행으로 계산할 때 <면앙정가> 74행 대부분은 기존한 면앙의 시문들에서 흡사한 모티브를 구할 수 있다. 친숙하거나 회자되는 시구들을 편집하여 새로운 작품을 제작하는 집구시의 수법과 같다고 할 정도로 둘의 관계는 긴밀하다. 한시, 특히 누정시에서는 대우정신의 실현이 시여부를 판별하는 정도로 중요시된다. <면앙정가>에서도 대우정신이 작열하였으며 행과 행 사이보다는 주로 반행 단위로, 아니면 한 행 내에서 대조법으로 구사되었는데 반행을 한 행으로 간주했던 옛 관습 및 한시 편법의 단위인 구의 영향이 컸다고 해석된다. 면앙은 언어와 문자의 괴리로 한시에서 제대로 발휘할 수 없었던 대조법의 구사력을 <면앙정가>에서 마음껏 펼쳤다고 하겠다. 화제의 전환을 경계로 대분하면 <면앙정가>는 4단 구조다. 정자의 소개(기), 면앙정에서 조망한 순간 및 4계의 경물(승), 화자의 일과(전), 그리고 향리 생활의 논평과 군은 환기(결)로 텍스트는 짜여졌다. 轉단계의 화제가 누정 생활과 동떨어진 듯이 느껴지나 가사의 시행 확장 원리인 환유로 풀이하면 자연스러우면서도 오히려 가사 속성을 부각시킨 효과를 발휘한다. 경물과 화자는 쉴 겨를이 없이 황망한데 이는 면앙이 인식했던 존재론, 곧 기일원론적 사상의 형상화로 읽혀진다.


The results which this study achieved till now are item by item shown as followings: 1. The <Myenangjungka> picked out apt phrases from the poetries and proses, especially chinese poems of arbor, collected in the anthology of Myenang and composed them as if one produces a poem borrowed in terms of lines written by many of the other writers. 2. In the <Myenangjungka> the antithesis is a main rhetorical device which practices the spirit of contraposition essential in the Chinese poetry. 3. The <Myenangjungka> is organized into the 4 steps in composition ; We can reduce it to the introduction of the Myenang arbor(the introduction), the momentary and 4 seasons's natural features which get a magnificent view form the Myenang arbor(the development of the theme), the busy speaker's daily work(conversion), and the comment on the pastoral life and the awakening of the royal favours(summing up). 4. The ontology which the natural features and the speaker are circulating without a spare moment represents the unite between the self and world based on the only one energy in opinion.


The results which this study achieved till now are item by item shown as followings: 1. The <Myenangjungka> picked out apt phrases from the poetries and proses, especially chinese poems of arbor, collected in the anthology of Myenang and composed them as if one produces a poem borrowed in terms of lines written by many of the other writers. 2. In the <Myenangjungka> the antithesis is a main rhetorical device which practices the spirit of contraposition essential in the Chinese poetry. 3. The <Myenangjungka> is organized into the 4 steps in composition ; We can reduce it to the introduction of the Myenang arbor(the introduction), the momentary and 4 seasons's natural features which get a magnificent view form the Myenang arbor(the development of the theme), the busy speaker's daily work(conversion), and the comment on the pastoral life and the awakening of the royal favours(summing up). 4. The ontology which the natural features and the speaker are circulating without a spare moment represents the unite between the self and world based on the only one energy in opin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