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암 박지원의 산문정신은 단순히 그가 운문 사용을 기피했던 태도의 차원에서 논의될 일이 아니다. 그는 글쓰기의 대상이 되는 사물을 어떻게 하면 가장 진실하게 묘사할 것인가를 궁리하고 모색한 결과, 사실적 표현에 어떤 제약도 받지 않는 산문을 문학의 수단으로 삼았다. 연암은 이를 자신의 글쓰기 정신으로 삼아 산문 위주의 문학적 태도를 확립한다. 그러나 이 정신은 유독 그의 기행문에서 변이 양상을 보여 주고 있어 문제를 낳고 있다. 그는 인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서 여행을 하고 그 결과를 글로 남겼다. 청년 시절, 연암은 자신을 괴롭히던 우울증과 과거 응시 여부의 갈등을 안고 금강산 유람에 나섰다. 여정 전체의 기록은 없지만 이때 창작한 <총석정관일출>이라는 해돋이 감상 글이 남아있다. 그는 거기에 새로운 세계를 기대하는 소망을 담았는데, 이 꿈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장편 한시를 사용하였다. 연암의 본격적인 기행문은 『열하일기』이다. 그는 이 방대한 저작을 통해 청나라의 문물을 조선인들에게 알리고 그것을 실천하기를 열망했다. 당연히 세세한 부분까지 사실적 묘사를 하는 산문 양식의 글이었다. 그렇지만 『열하일기』에는 약 200편에 가까운 삽입시가 나온다. 중국에서 본 일을 기록하면서 그것을 확인시키기 위해 한시를 인용하는 ‘산문-운문-산문’의 결합 방식을 사용한 것이다. 그는 한문으로 된 기행문이 갖는 전통적 산문 형식을 이탈하면서까지 곳곳에 운문을 활용했다. 만년에는 자신의 임지에 가까운 해인사를 다시 찾아보고 유람시 <해인사>를 내놓았다. 그는 여기에서 초기의 한시로 환원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며 사실적 묘사 방식에 충실한 시를 썼다. 연암은 이런 일련의 과정 속에서 사물에 대한 묘사나 대상의 인식 효과가 운문 양식이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했을 경우 산문정신의 변이도 개의치 않았던 것인가 하는 의문의 여지를 남겨놓았다. 여기서 연암이 설정한 산문정신의 기준을 파악해야 하는 문제가 나온다. 산문은 글이 갖는 형식의 제약을 벗어나 대상을 자유롭게 표현하려는 태도에서 비롯된 산물이며, 산문정신은 이런 입장을 바탕으로 인간의 의식 속에 발현되는 여러 생각들을 아무런 구속 없이 표현하고자 하는 문학적 사고를 가리킨다. 그러므로 독자를 대상에 더 가까이 이끌 수 있는 방식이 있다면 그것을 자유롭게 활용해야 하며, 구체적으로 기행문에서 시가 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면 산문적 규범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것이 연암의 정신적 기준이었다. 연암의 산문정신은 기행문에서 유연성을 발휘하며 운문을 포괄하는 자유로운 표현 의식을 지칭하는 의미로 변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사실적 전달을 위한 운문의 사용이 산문정신을 유지 강조하는 수단으로 쓰인 것이다. 결국 연암이 기행문에서 사용한 시들은 역설적으로 작가의 산문정신을 강화시켜주는 변이 작용의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Yeonam Park Ji-won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man who did literary activities standing on the spirit of prose of the latter term of Joseon. The spirit of prose is literary thinking that expresses objects freely escaping limitation of forms writings have. He changed nature fostering-centered literature of Chinese poetry into realistic literature of prose as this spirit. Because of difficulties in Yeonam's pioneer path, it wasn't easy for him to overcome diseases, complications of apply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persecution of the style of writings. He used to travel in such a crisis and leave an account of his trip. He solved problems of him and society by such a work of writing. His representative travel sketches are <Chongseokjeonggwanilchul> after travel of Mt. Geumgang in his youth, 『Yeolhailgi』 after travel Yeongyeong and Yeolha in The Qing Dynasty in the prime of life, <Haeinsa> after travel of Haeinsa in Mt. Gaya in his later years. By the way <Chongseokjeonggwanilchul> and <Haeinsa> are long works of Chinese poetry, and about two hundreds of Chinese Poetry are quoted in 『Yeolhailgi』. The reason that Yeonam who had the spirit of prose wrote poetry in the important period of change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pirit of prose should not be distinguished as not using poetry but as writing the writer's ideas realistically without condition. These poetry strengthen Yeonam's spirit of prose paradoxically. In this sense, his travel sketches caused change of meaning of existing genre divided into poetry and prose. The spirit of prose also presents an appearance of changing into free consciousness of expression including poetry while the center of genre moves from poetry to prose in literature.


Yeonam Park Ji-won is a representative literary man who did literary activities standing on the spirit of prose of the latter term of Joseon. The spirit of prose is literary thinking that expresses objects freely escaping limitation of forms writings have. He changed nature fostering-centered literature of Chinese poetry into realistic literature of prose as this spirit. Because of difficulties in Yeonam's pioneer path, it wasn't easy for him to overcome diseases, complications of applying for the state examination, persecution of the style of writings. He used to travel in such a crisis and leave an account of his trip. He solved problems of him and society by such a work of writing. His representative travel sketches are <Chongseokjeonggwanilchul> after travel of Mt. Geumgang in his youth, 『Yeolhailgi』 after travel Yeongyeong and Yeolha in The Qing Dynasty in the prime of life, <Haeinsa> after travel of Haeinsa in Mt. Gaya in his later years. By the way <Chongseokjeonggwanilchul> and <Haeinsa> are long works of Chinese poetry, and about two hundreds of Chinese Poetry are quoted in 『Yeolhailgi』. The reason that Yeonam who had the spirit of prose wrote poetry in the important period of change has important meaning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e spirit of prose should not be distinguished as not using poetry but as writing the writer's ideas realistically without condition. These poetry strengthen Yeonam's spirit of prose paradoxically. In this sense, his travel sketches caused change of meaning of existing genre divided into poetry and prose. The spirit of prose also presents an appearance of changing into free consciousness of expression including poetry while the center of genre moves from poetry to prose i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