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자모 교육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의 기초 단계를 검토하기로 한다. 주된 검토 대상은 대학 부설 언어교육원에서 간행한 통합 교재 20여 종으로 국한한다. 20여 종의 교재의 기초 단계에서 사용된 용어와 개념의 일치 여부를 고찰하여 초급 학습자의 자모 교육에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부분을 지적하고자 한다. 또한 구체적 학습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 이를 보완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효율적인 교육이 가능한 대안이 제시될 것이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어의 개념을 정확하게 지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자모 교육(字母敎育)에 있어 교사나 학습자의 혼란을 줄일 수 있다. 그간 ‘자모(字母)’를 ‘자모(子母)’와 혼동하였기 때문에 교재의 기초 단계에 몇 가지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모(字母)’는 문자적 개념의 용어이고 ‘자모(子母)’는 언어적 개념의 용어이다. 따라서 이 둘의 용어는 경우에 따라 엄격하게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자모 교육(字母敎育)에 있어서 ‘기본 모음’ 또는 ‘단모음’이란 용어를 사용하면서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등을 제시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또한 ‘기본 모음자(基本 母音字)’ 또는 ‘단모음자(單母音字)’라는 용어로 대체하여야 교사나 학습자가 겪을 수 있는 혼란을 최소할 할 수 있다. 둘째, 자모 교육에서 정확한 음가를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여러 방식이 혼용되어 교사나 학습자를 혼란하게 하였으므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로마자 표기법 방식과 영어를 활용한 방식은 보완하는 데에 한계가 있으므로 발음 기호로 적는 방식을 주로 하여 문제점을 보완함으로써 좀 더 정확한 음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그간 자모 교육에서 활용한 음절표는 발음할 수 없는 일부 음절까지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이를 현실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테면 발음할 수 없는 음절에 어떤 표식을 달거나 기본 모음자 대신 단모음을 음절표에 넣는 것이 유용한 대안이 될 것이다.


This paper discusses the basic level Korean textbooks focusing on the teaching of Korean letters. Th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b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of 20 universities are examined. Through discussion, the terms and the concepts of the term are surveyed and solutions for some problems are proposed.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fusion can be dissolved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the term. For example, the term 字母(alphabets) and 子母(consonants and vowels) must be understood in the view of orthography and linguistics respectively. Second, it is better to show the phonetic value using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s(IPA).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llable chart. For example, the mark representing unpronouncible syllable and a monophthong can be used for more useful instruction.


This paper discusses the basic level Korean textbooks focusing on the teaching of Korean letters. Th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by language education institutes of 20 universities are examined. Through discussion, the terms and the concepts of the term are surveyed and solutions for some problems are proposed. The main poi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fusion can be dissolved by clarifying the concept of the term. For example, the term 字母(alphabets) and 子母(consonants and vowels) must be understood in the view of orthography and linguistics respectively. Second, it is better to show the phonetic value using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s(IPA). Finally,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yllable chart. For example, the mark representing unpronouncible syllable and a monophthong can be used for more useful instr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