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필자의 초고에 대한 교수 첨삭 담화의 유형 및 양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교수 첨삭 담화를 기능별로 분석한 결과, 지시하기(65.1%), 평가하기(28.7%),제언하기(0.4%), 질문하기(0.1%), 표현하기(0.0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재의 교수첨삭 담화가 상당히 독백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교수 첨삭 담화를 화제별로 분석한 결과, 표현(77.9%), 내용(15.5%), 조직(0.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수는 학생 글을 첨삭하면서 주로 표현에 초점을 맞추어 피드백을제공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글 조직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것으로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계량적 분석에서 더 나아가 각 유형별 교수 첨삭 담화를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기존에 효과적이라고 합의된 교수 첨삭(반응)방법이 상당한 근거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첨삭 담화가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작문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있는 담화의 특성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평가하기,지시하기 담화보다는 제언하기, 질문하기, 표현하기와 같은 대화적 발화를 많이 사용할필요가 있다. 2)긍정적이고, 명시적인 반응이 효과적이다. 3)내용, 조직, 수사적 쟁점(주제, 독자, 필요성)를 주요 화제로 삼아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ype and aspect of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s on the drafts student wrote.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s by its function reveals the frequency of directing(61.5%),evaluating(28.7%), suggesting(0.4%), questioning(0.1%), emoting(0.05%). We may say that current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s are somewhat monologic. The analysis of the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s by its topic reveals the frequency of expression(77.9%), content(15.5%), organization(0.7%). Instructors generally offer the feedback focusing on expression, not on organization. On the basis of the quantitative analyses, this study analyzes the qualitative nature of instructor commentary discourses. It reveals the instructor revision(response) methods which have acknowledged as effective are considerably suitable. This study also identify each commentary discourse's educational signification, and the side effect of commentary discourse on writing development.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 this study suggests three proposal. They are as follows: 1) More dialogic types of commentary discourses such as suggesting, questioning, emoting are needed. 2) positive and explicit responses are more effective. 3) Commentary discourses focusing on content,organization, rhetorical issues(theme, reader, necessity)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