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지훈의 시에 나타나는 형이상적 사유의 전개 양상을 살핌으로써 그러한 테마가 그의 시적 정취를 구성하는 핵심 동인임을 구명하고, 이를 통해 자연과 현실에 대한 지훈 시의 심미적 형상들이 유기적이고 일관된, ‘경건한 성찰’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그의 초기 시세계를 지배하는 형이상적 자질들에 주목하여 그것의 의미와 이후 전개 양상을 점검하였으며, 지훈 시의 내면에 대한 중층적 이해를 위해 서학(西學)을 통해 조선 유학의 새로운 장을 열었던 다산 정약용의 사상을 함께 검토하였다. 서구 문화에 내장된 형이상적 관념이 자신을 성찰하는 내면적 자의식 혹은 윤리의식으로 이월해가는 양상은 유가적 전통 위에서 서구를 경험했던 다산과 지훈에게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특징이다. 서학의 영향 속에서 당대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하고 원시유학의 ‘실천적 경건주의’를 회복하고자 했던 다산은, 습작기의 지훈시에 내장된 자의식을 해명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준다. 지훈의 습작기 작품에 집중적으로 보이는 형이상적 충동과 자의식은 추천 과정을 통해 전통적 소재와 정제된 언어로써 발현되는데, 「승무」는 그의 내면을 지배하고 있던 비극적인 인간 이해와 죄의식이 동양적 구도(求道)의 형식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작품이다. 실체로서의 인격신을 인간의 윤리적 실천의 기본 조건으로, 아울러 자연과 본질적으로 구분되는 인간 존재의 근거로서 사유했던 정약용과 달리, 지훈은 모든 생명들을 동일한 자연의 질서 아래 놓인 이법(理法)의 대상으로 파악하였다. 그에게 모든 우주 존재들은 품부된 생명의 운동성을 살다가는 자연이었으며, 지훈은 이러한 생명의 존재 방식을 자신의 감성적 인격으로 내면화하였다. 지훈의 시는 본질적으로 거대한 우주적 시간 속에서 유한한 존재의 현실을 바라보는 형이상적 관점 위에 건설되어 있다. <지옥기> 계열 시편의 핵심 주제였던 인간의 존재론적 허무와 죄의식은 추천의 과정을 통해 자연의 이법을 사유하는 존재론으로 확대되었지만, 그의 시가 변함없이 선회했던 것은 생명 존재의 한계와 비애였다. 이러한 의식은 현실과 역사를 바라보는 시선에도 동일하게 투사되어 있다. 그에게 역사적 현실은 생명체에게 품부된 자연처럼 주어진 숙명으로 인식되었지만, 지훈은 그것을 체념이나 비관적 숙명주의로 감수하지 않고 주어진 역사적 현실 속에서 자신의 소명을 다하는 운명으로 받아들였다. 역사적 현실을 그린 지훈의 작품 속에 편재한 설움과 비애의 정서는 이러한 인식에서 기인하고, 그것은 자연 생명을 관조하는 시선에도 동일하게 내재되어 있는 정념이다. 그러한 점에서 인간‧생명‧자연‧현실‧역사를 바라보는 지훈의 관점은 유기적 일관성을 띤 ‘경건한 비극적 현실주의’라고 할 수 있다.


This thesis aimed to express that metaphysical theme is core motive composing his poetic mood by looking at the development aspects of metaphysical thinking in his poems and through this, to find out that esthetic shape for nature and reality in Chihun's poems is organic and consistent 'pious introspection'. Especially, by focusing on metaphysical qualification filling his early poems, its meaning and subsequent development aspect were examined. And for superimposed understanding of inner side of Chihun's poems, philosophy of Dasan, Jeong Yahg-yong, was examined together, who opened new day in Joseon Confucianism through Western Learning. The aspect that metaphysical idea inherent in Western culture is brought forward inner self-consciousness or sense of ethics is common characteristic found in their works. Jeong Yahg-yong, who experienced the West based on Confucian tradition, and Chihun have this aspect in common. Dasan criticized contemporary neo-Confucian view of the world under influence of Western Learning and tried to recover 'practical pietism' of original Confucianism. He gives important inspiration to express self-consciousness in Chihun's poems during his study period. Metaphysical impulse and self-consciousness, intensively appearing in the works during Chihun's study period, get expressed as traditional subject materials and refined words through recommendation process. 「A Buddhist Dance」 is very important work. In this poem, tragic understanding of human being and sense of guilt are diverted to the type of Oriental seek after the truth. Jeong Yahg-yong thought the substantive personal God as the basic condition of ethical practice of humans and as the basis of existence of humans distinguished essentially from nature. Unlike Jeong Yahg-yong, Chihun saw all living things as the object of principles and rules under the same nature's order. For him, all beings in universe were the nature living and going away with mobility of life. Chi-hun internalized this existence way of life as his emotional personality. Chihun's poems are intrinsically built from the metaphysical views. It looks at the reality that the beings are finite in the huge universal time. Ontological vain and sense of guilt of humans are the core theme in the poems in the same line of <Record of Hell>. And it was expanded to Ontology that thinks the nature's order through recommendation process. But his poems constantly circled around limit and grief of living things. This idea is projected the same onto his view of reality and history. For him, historical reality was given fate like nature innate in living things. But Chihun did not accept it as resignation or tragic fatalism. He accepted it as the fate which follows his calling at his best in given historical reality. Sadness and grief prevailing in Chihun's works, which contains historical realities, came from this awareness. Also it is the emotion projected the same on the contemplative views of living things in nature. In this respect, it can be said that Chihun's view of humans, living things, nature, reality and history is 'pious tragic realism' with organic consist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