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8세기의 이름마디는 현대국어에 준하는 체계를 확고하게 갖추게 되는데, 이를 검증하기 위해,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를 중심으로 형태·통어·의미론적 제약관계를 살펴보았다.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형태론적 특징은 18세기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문법범주 제약을 확인하였다. 확인한 결과, 두 유형의 이름마디는 문법 범주의 제약 정도가 유사하였는데, 둘 다 때매김법과 높임법의 안맺음씨끝을 앞세우고 있었다. 이것은 분명히 ‘-ㅁ’, ‘-기’가 굴곡의 가지임을 증명하는 것이고, 이름법 씨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즉, 17세기에 균형을 맞추기 시작했던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가 18세기에는 더욱 대등한 위치에서 이름마디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18세기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기능(통어론적 제약)을 확인하였다. 살펴본 결과, 두 유형의 이름마디는 모든 월성분으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는 이름마디로서의 기능을 온전하게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현대국어의 이름마디 체계와 비슷한 ‘-ㅁ’과 ‘-기’를 중심으로 한 이름마디의 체계가 17세기에 이미 완성되었음은 최대희(2010)에서 서술하였는데, 18세기에 이르러 더 확고해졌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마지막으로, 의미론적 차원에서는 안은마디 풀이말(풀이말1)과 안긴마디의 풀이말(풀이말2) 간의 씨범주 제약관계를 파악하였다. 임자말로 기능하는 경우는 ‘-ㅁ 이름마디’와 ‘-기 이름마디’의 제약관계가 비슷하게 나타나는데, 풀이말1은 그림씨가 많고, 풀이말2는 움직씨가 많았다. 부림말로 기능하는 경우는 ‘-ㅁ 이름마디’보다 ‘-기 이름마디’가 더 제약을 받았다. ‘-ㅁ 이름마디’는 풀이말2에 움직씨와 그림씨가 제약 없이 오는데, ‘-기 이름마디’는 풀이말2에 움직씨는 제약 없이 오나, 그림씨는 매우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기 이름마디’에서 풀이말2에 올 수 있는 그림씨가 매우 제한적인 까닭은 풀이말1의 대상이 되는 부림말이 동작성 풀이말에 한정될 가능성을 의미한다. 곧 풀이말2에 상태나 느낌의 풀이말이 올 경우 ‘-기’가 제약되는 것은 ‘-기’의 의미자질이 [-상태, -느낌]과 관련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noun clause by finding out morphologic and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in the 18th century Korean. Summary of the contents is as follow.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 confirmed a grammar category limitation relationship of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had appeared as similar features in morphologic limitation relationship. The syntactic characteristic confirmed function. Two types functioned as all kind of sentence components. Through morphologic and syntactic characteristics,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were confirmed to carry out function very well as noun clause and it was confirmed that a system of noun clauses based on these two types were firmed in the 18th century. The semantic characteristic confirmed a semantic limitation relation ship. Noun clause showed similar features in limitation relationship in semantic aspect when noun clause functioned as the subject but when it functioned as the object,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showed a little different feature. Through sematic limitation relationship, ‘-ㅁ noun clause’ and ‘-기 noun clause’ carried out the functions as noun clauses but it was confirmed that meaning qualification of the two was differ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