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텔레비전 광고 언어에는 소비자를 설득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략적 표현들이 있다. 이러한 표현들은 언어가 사용되는 기능과 양상에 따라 다양한 화용론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텔레비전 광고 언어는 움직이는 영상을 매개로 하여 제품에 대한 다양한 이미지를 전달하기 때문에 시청자에 대한 독특한 전략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략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러한 맥락에 어울리는 문체와 화용론적 장치들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것은 텔레비전 광고 언어의 의미 전달 과정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시대와 제품군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텔레비전 광고 언어의 화용론적 현상들 중 특히 문장 종결법, 동일구조 반복, 상호텍스트성 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텔레비전 광고 언어에서는 문장을 서술형으로 끝맺을 때와 명사형으로 끝맺을 때 나타나는 화용론적 효과는 분명히 다르다. 동일구조 반복은 텔레비전 광고 언어로 나타나는 발화의 결속 관계를 강화시켜주며 발화의 재생산을 도모한다. 상호텍스트성은 텔레비전 광고 언어의 구정보를 신정보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거나 브랜드명을 소비자 행위로 연결시키는 기능도 한다.


This study is about a pragmatic analysis on the language of TVadvertisements in the 1970s and after the 2000s. There are various strategicexpressions for persuading consumers in the language of TV advertisements. These expressions lead to various pragmatic phenomena according to thefunctions and aspects of the language. As the language of TV advertisementsdelivers various images for the products on TV through the medium of vision,the peculiar and specific strategies for TV audience are indispensible. To carry out these strategies, the appropriate language styles and thepragmatic devices are used. They are closely related with the process ofdelivering messages of the TV advertising language and subdivided intoseveral categories according to the times and the product family. It is found out that the three pragmatic phenomena such as sentence-final style, repetition of same structure, intertextuality stand out. Thesentence-final styles are used to enhance consumer intimacy by controllingthe strength of persuasion. The repetition of same structure reinforces thesolidarity of the utterance spoken as the TV advertising language and aimsto the reproduction of the utterance. The intertextuality plays a role ofexchanging old information into new information and has a function tomake the brand name connect to the consumer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