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구의 원도심 지역에 형성된 골목의 역사문화적 가치를 재해석하고, 이를 스토리텔링을 통해 재구성하는 과정을 살핀 것이다. 그것은 공간 스토리텔링이 공간의 장소성을 확보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골목이라는 공간의 인문적 재현과 생활문화의 공간적 의미를 재해석’하고 있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도시의 골목은 인간의 실존과 역사, 문화적 경험과 그 기억의 실재를 규정하거나 보여주는 장소 역할을 해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시의 골목 중에서 대구의 원도심에 남아 있는 골목이 물리적 공간으로부터 삶의 공간, 소통과 관계의 장소로 재구성되는 과정을 몇 가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특히 골목 재구성에 활용된 스토리텔링의 의미를 장소와 인간의 생활사를 연결하는 서사 구조 혹은 글쓰기의 의미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장소 혹은 공간과 인간을 연결하는 공간 스토리텔링은 첫째, 대중들에게 공간 읽기를 유도하는 자극제가 될 수 있으며 둘째, 이야기를 통해 장소의 정체성 및 특징을 쉽게 이해시킨다는 점. 셋째, 이야기를 통한 각인의 효과로 공간의 이미지 형성을 쉽고 지속시킬 수 있다는 점. 넷째,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공간 기획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인간과 공간의 소통을 열어주는 방법론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논문에서 밝혔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대구 신택리지』, 『도심은 살아있다』, 『시간의 포켓북』 등 대구 골목을 테마로 한 세 가지 스토리텔링 사례를 살펴보고. 공간(골목) 스토리텔링이 실제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시민 중심, 체험 중심, 생활 중심의 스토리텔링이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재확인해 보았다.


This study reinterpreted the historical value of an alley created in theoriginal downtown area of Daegu, and it looked into the process of thereproduction of a restructured city through based on a sense of place. A placeis where the order of humans and the order of nature are combined, and itis a very meaningful center where we experience the world directly. A placeis a phenomenon that is not an abstraction or a notion, but it is where a worldof living is experienced directly ; therefore, a place is filled with meanings,existing objects, and continuous activities. This study took a look into several cases of the process of the restructuringof an alley remaining in the original downtown area of Daegu, as an exampleof an urban alley, into a space of living and a place of communication andrelationship from a physical space, and it analyzed its meaning. In particular,storytelling utilized in the restructuring of an alley, and the real existenceand direction of the storytelling of local cultural assets may be the main focu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local historical cultural resources and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resources and storytel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