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명사 말음의 종성 /ㄷ, ㅌ, ㅈ, ㅊ/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연결되는 구성에서 화자들이 이들 종성을 조사의 초성으로 연음하여 발음하는 표준 발음과 함께 선택적으로 종성을 [ㅅ]으로 교체하여 발음하는 ㅅ음화 현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ㅅ음화 이외에도 국어에서는 표준 발음과 음운 변동된 발음이 화자들에 의해 선택되어지는 예들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이들을 비교 분석하여 ㅅ음화의 특징을 밝혔다. 그 결과 명사 말음의 종성 /ㅋ, ㅍ/이 모음 조사와 연결된 구성에서 화자들이 표준 발음과 함께 선택적으로 종성을 [ㄱ, ㅂ]으로 교체하여 발음하는 현상도 ㅅ음화 현상과 동일한 음운 변동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본고에서는 (i)표준 발음으로 실현되는 종성의 기저 음소와 (ii)종성이 중화(neutralization)된 불파음 [pㄱ, tㄱ, kㄱ]이 화자에 따라 기저형으로 선택되어짐으로써 나타나는 음운 변동 현상으로 설명하였다. 결과적으로 ㅅ음화는 화자들이 명사 말음 종성의 기저형으로 기저 음소인 /ㄷ, ㅌ, ㅈ, ㅊ/ 대신에 불파음 [tㄱ]을 선택하고 이 기저형이 [ㅅ]으로 음운 변동되어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ason and the grammatical meaning of s-assibilation in Korean. At first, this paper tried to frame the discussion as follows: in order to figure out the whole picture of s-assibliation, we have to consider the fact that Korean speakers can select either the standard pronunciation or s-assibilation when the coda of the final syllable of a noun is one of /t, th, ch, chh/ occurs with the particle that starts with a vowel. Then, this paper looked for certain examples which showed the same distribution of s-assibilation such as the coda of the last syllable of a noun is /kh, ph/ and analyzed these examples with the examples of s-assibilation. This paper found that s-assibilation was not the result of a sound change. Instead, depending on Korean speakers, the neuralized form of the coda /t, th, ch, chh/, the implosive [tㄱ], was memorized as a underlying representation as the same as the underlying phonemes. As a result, the sound [s] was not directly derived from phonemes /t, th, ch, chh/ but it was derived from the alternative underlying representation the implosive [t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