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청준의 「이어도」는 천남석 기자의 죽음을 둘러 싼 선우현의 탐색의 서사를 기본구조로 사용하면서 이어도라는 비실재하는 섬에 대한 서사 정보를 제공하는 중심 인물인 양주호를 정점에 둔 유사제의서사를 만들어 낸다. 소설의 시작 단계에서 초점자의 기능을 수행하던 선우현은 빈틈없는 제의서사로 천남석의 실종을 의미화하는 양주호를 통해 천남석이 ‘이어도 제의’의 희생제물이 되었음을 받아들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선우현은 천남석을 대신하여 이어도 제의가 계속되는 데 필수적인 ‘희생제물’의 자리로 옮겨짐으로써 전언자로서의 객관적 거리를 상실하고 ‘이어도 제의’의 일부분이 되어 버린다. 이러한 서사전개는 양주호가 제공하는 이어도 관련 서사 정보의 밀도와 신뢰도가 선우현이라는 전언자를 초점화자로 전환시키는 과정과 겹쳐진다. 그리고 선우현은 탐색의 서사에서의 서술행위자에서 제의서사의 서사행위자로 급격히 자리바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서사적 기능의 자리바꿈은 독자의 서사 정보 판단을 대신하여 사건에 관여하였던 선우현이 독자의 시선에 드리워지는 자리, 곧 초점화자로 옮겨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양주호의 이어도의 서사는 제의가 지닌 순환성과 완결성을 구축하도록 완성되어 소설의 결말을 향한다. 그러나 마지막에 천남석의 시신이 발견됨으로써 선우현은 다시 탐색의 서사의 관찰자-전언자로서의 서사기능으로 돌아 오게 되며 이 지점에서 양주호의 유사제의서사는 본원적이고 초월적인 완결성에 균열이 만들어지게 되어 제의서사로 종결될 수 없도록 작품의 의미가 재규정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결론적으로 「이어도」는 천남석-양주호에 의해 구축된 제의서사가 선우현-천남석에 의해 진행되는 탐색의 서사와 겹쳐지면서 환상적이고 초월적인 세계의 본질에 대한 잠언적 성찰을 드러내는 것으로만 해석될 수 없는 서사구조의 복잡성을 지닌 작품이라 하겠다.


Ieo-do has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that Seonwoo-hyoun has inquired into the reason of Cheon-namseok’s missing accident. But Yang-juho, Cheon-namseok’s superior at local newspaper company informed the narrative information that Cheon considered the island people’s utopian story of Ieo-do as fabrication because he have leveled charged of escape from real living condition against people in island. So Seonwoo as a narrator and informant of narrative at starting point of narrative consider Yang as reliable informant of Cheon’s past. But at the position of reader, Yang who are well informed of Cheon is not reliable because he does not informed the ‘fact’ of Cheon’s past but the ‘interpretation’ of that. Later Seonwoo was able to realize that but at that time Seonwoo’s narrative function exchanged from messenger or observer to the ‘sacrified offering’ of Yang’ pseudo religious ceremony of Ieo-do. Seonwoo’s narrative function like this influence reader’s reading and interpretation strategy of narrative and reliability of narrative information and inform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