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상인과의 교유를 통해 나타난 율곡시의 특징을 고구한 것이다. 상인과의 교유시가 지닌 특징을 밝히기 위해 불교에 대한 율곡의 인식부터 살펴야한다. 불교에 대한 율곡의 인식은 금강산 하산 이후부터 비판적 시각으로 일관했지만 이통기국설과 같은 독자적 이론이 화엄사상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은 간과해서는 안 된다. 상인과의 교유시에 나타난 특징은 ‘禪學에 대한 儒道의 논리’, ‘상인과의 정서적 교융’, ‘禪定 공간의 미감’으로 대별될 수 있다. ‘禪學에 대한 儒道의 논리’에서는 도학의 논리를 근거로 하여 선학의 無證·無徵함을 비판한 후 유도의 길로 나아가길 설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상인과의 정서적 교융’에서는 이별의 정한과 유산에 따른 흥취가 주를 이룬다. 상인과의 이별이 知友와 헤어질 때 보여주는 애틋한 惜情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깊은 여운을 남긴다. 상인과 함께한 유산의 흥취는 무소유적이며 자연과 同樂으로 이어지는 시적 특징을 보인다. ‘禪定 공간의 미감’은 산사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시기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인다. 젊은 시절에는 선정 공간이 전면에 배치되지 않아 이원화에 따른 조화의 미감을 보여주지만, 장년 시절에는 無碍, 造化, 合一의 경지에 따른 미감을 보여주어 그 특징적 차이를 지닌다.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of Yulgok through his social intercourses with Buddhist priests. The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about his social intercourses with Buddhist priests were categorized into "Confucian logic about Buddhism," "emotional exchanges with Buddhist priests," and "aesthetic sense of Seonjeong space." Under the category of "Confucian logic about Buddhism," Yulgok elucidated that Buddhist priests should realize Confucianism after criticizing Buddhism for its lack of logic and futility. Under the category of "emotional exchanges with Buddhist priests," he mainly depicted the emotions involved in parting and the excitement according to Yusan. Parting with a Buddhist priest was characterized by a profound lingering sentiment even though it evoked no heartfelt affection that one would feel in parting with a close friend. The excitement with Buddhist priests according to Yusan had characteristics of non-possession and living with nature. Under the category of "aesthetic sense of Seonjeong space," Yulgok wrote poems in the background of mountain temples with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eriods.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were prominent between his younger years, when the Seonjeong space was not placed in the front and thus showed the aesthetic sense of harmony based on dualization, and his older years, when he exhibited his aesthetic sense according to Muae, harmony, and 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