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언어의 체계적인 변화 경향을 설명하기 위한 문법화 이론의 여러 개념 중 주관화 과정은 의미 변화의 경향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입된 이래 의미 변화의 방향과 이를 동기화하는 인지적 기제를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본고는 지금까지 세 가지 경향성으로 기술되어 왔던 주관화 이론을 다섯 단계로 세분하며, 이를 위해 영역내 변화와 영역간 변화의 구분을 도입한다. 그리고 문법화 이론의 보완을 위하여, 주관화 이론이 문법화 이론과 가지는 관계를 다시 고찰한다. ‘주관화’와, 그 영향으로 일어나는 체계적 언어 변화인 ‘화용화’는, ‘문법형태화’라는 좁은 의미로 사용되는 ‘문법화’ 이론에 체계적인 반례를 제공한다. 본고는 기존의 문법화 이론이 정립한 절 결합의 연속변이가 가진 방향성을 한국어에 일괄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 이 사례가 산발적인 예외가 아니라 ‘연결어미의 종결어미화’라는 형태로 체계적으로 발생하는 예외라는 점을 들어 문법화 이론의 수정이 필요함을 역설한다. 주관화 과정에 의해 동기화된 언어 변화, 특히 담화 장면에서의 화용화는 좁은 의미의 문법화 이론으로는 포착하기 어려운 일정한 경향성을 가진다. 주관화와 화용화가 던지는 문제 제기를 통해 문법화 이론을 점검함으로써 문법화의 외연을 확장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다.


In order to explain language change, concept of "subjectivization" is introduced and used to theorizing semantic changes. This paper intends to use subjectivization theory to give explanation of what happens in Korean, like the change from Connective endings to Final endings. This paper tried to devide the areas in subjectivization to five stages. Each of them is a semantic change which is occurred in the domain or between the domains. Pragmaticalization is motivated by Subjectivization, and shows not typical grammatical element as a result, but still Pragmaticalization shares common principles and motivations. Thus systemic changes from Subjectivization and Pragmaticalization are helpful to revisiting Grammati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