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이찬 시에 나타나는 환상적 공간에 초점을 맞추어 이국적 취향의 환상과 현실 일탈로서의 환상적 공간의 시에 주목하였다. 이 작품들은 모더니즘적 성격과 고향을 상실하고 떠도는 유랑의식을 비극적으로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그 이면에는 현실 비판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도피적 태도’라는 비판도 받았다. 본고는 이 작품들의 해석 및 분석을 통해 환상성에 내재된 현실과 환상간의 은밀한 교호작용을 밝혀보고자 한다. 19세기에 환상은 리얼리즘 소설을 지지하는 사람들에게 의도적으로 따돌림을 당하기도 하였으나 환상은 주요 서사의 흐름 속에 보편적인 자리를 차지했으며, 현대 문학 속에도 다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캐스린 흄에 따르면, 환상은 등치적 리얼리티로부터의 일탈로 이는 곧 문학 본래의 충동으로 보았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은 괴물에서 은유에 이르기까지 수없이 많은 변형으로 나타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환상 문학은 1920년대 낭만주의 문학에서 엿볼 수 있으나 그보다도 일제 강점기나 1950년대와 1960년대의 환상적인 시들에서 그 맥락을 찾아야 할 것이다. 특히 일제 강점기와 해방 그리고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격동적 시대적 상황은 억압되고 고통스러운 현실로부터의 일탈을 추구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환상을 어떤 특정한 시대나 작가에 국한하여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므로 해방 전후에 활동했던 여러 시인의 시편에서도 환상과의 조우를 발견할 수 있다. 본고에서 이찬의 시에서 환상성을 밝혀내려는 노력을 하게 된 것은 그의 시의 밑바닥에 흐르고 있는 도저한 유토피아에 대한 감상 때문이다. 이런 시인의 태도는 현실적 자아의식이 결여된 심미적인 세계로 도피했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지만 중요한 것은 그의 시가 보여주는 환상의 양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찬 시편이 환상문학의 압도적인 기이함 등을 표현하고 있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우나, 때로 각박하고 비참한 현실의 배후에는 한 인간의 농밀한 아픔이 도사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focused on fantastic space shown in Lee Chan’s poetry and observed poems of exotic fantasy and the fantastic space as a departure from reality. These works were reviewed that tragically express modernistic nature and wandering consciousness of losing home and wandering about. But it was also criticized as ‘an escapist attitude’ that lacks for critical self-consciousness in the back. This study is intended to reveal secret interaction between reality immanent in fantasy and fantasy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his works. In the 19th century, although fantasy was intentionally excluded from those supporting realist novels, it has occupied an universal position in the flow of a narrative and also taken the place in modern literature. Kathryn Hume claims that fantasy is any departure from consensus reality, an impulse native to literature. In this sense, fantasy can appear as a number of transformations from monster to metaphor. Although fantastic literature is revealed in Romantic literature in the 1920s in Korea, the context may be found in fantastic poem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r the 1950s and 1960s. In particular,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and the Korean War, one would have no choice but to pursue a departure from repressed and painful reality. In this regard, it cannot be asserted that fantasy appears only in certain times or writers. In other words, fantasy is not a phenomenon limited to some times or writers and is often encountered in several poets’ poems about the time of the 1945 Liberation of Korea. This study strived to reveal fantasy in Lee Chan’s poetry because of a good sentiment toward Utopia that underlies his poetry. Although his attitude has been criticized as an escape to the aesthetic world that lacks in realistic self-consciousness, the important is that it is the aspect of fantasy his poetry shows. Therefor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assert that Lee Chan’s poetry expresses overwhelming weirdness, we can know that a deep and severe pain of a person harbors at the back of miserabl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