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필자가 맡은 현대시강독 강의 시간에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학습하고자 하는 텍스트를 선정하면서 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황병승의 시를 읽는 방법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현대시의 새로움과 변화에 대한 경이감이나 거부감이 아니라, 한 시기를 대표할만한 상징성을 지닌 텍스트를 면밀히 지속적으로 분석하는 일일 것이다. 한국시사에서 2000년대 중반은 황병승을 비롯한 소위 미래파, 새로운 서정 등으로 명명되는 젊은 시인들의 작품이 대거 등장한 시기이다. 그들 시의 공통점은 새로움, 난해함, 모호함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러한 공통점을 필두로 그들의 시를 하나의 범주에 가두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다다랐다. 따라서 필자는 그의 시를 개별적으로 분석심리학의 관점에서 먼저 ‘보편 지향적 시’와 ‘실험 지향적 시’로 나누고 시적 주체에 따라 ‘적극적 주체’와 ‘소극적 주체’로 나누어 면밀히 분석을 했다. 시가 정서적 언어로 표현된 장르라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다. 인간의 정신은 의식과 무의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의 시는 등단작 「주치의 h」부터 무의식을 중심으로 쓰인 시가 많다. 시는 무의식 속 이미지를 수동적으로 나열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 상상을 통해 정서적 언어로 표현한 비교적 완성된 텍스트이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황병승의 시에 나타난 시적 주체의 의식과 무의식 그리고 페르소나와 그림자를 구분하는 일은 중요하다. 황병승의 시에서 전자는 사회적 인격인 ‘페르소나’와 ‘보편성’을 중심으로 전개되며, 후자는 숨기고 싶은 인격인 무의식 속 ‘그림자’와 ‘실험성’을 중심으로 시가 전개되는 특징이 있다. 한 편의 시를 어느 한 경향만으로 구분하기는 어렵겠지만, 그의 시에서 전자와 후자의 개별적 특징은 ‘소극적 주체’와 ‘적극적 주체’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것은 그의 시가 지향하는 일원론적 세계관을 반영하는 동시에 하나의 시적 장치로 분석된다.


This study began as the researcher was choosing texts that students would learn with continuing interest in Readings in Modern Poetry.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discuss the method of reading Hwang Byeong-seung’s poetry. What we need now may be minute and continuous analysis of texts with symbolism which can represent a period of time, rather than wonder or repulsion of novelty and change of modern poetry.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ry, the mid-2000s is a time when the works of young poets appeared, who are so-called futurists and new lyricists, including Hwang Byeong-seung. The common grounds of their poetry can be summarized as novelty, abstruseness and ambiguity, etc. What is notable here is that it was concluded that it would be impossible to lock up their poetry in one category based on these common grounds. Therefore, the researcher divided his poems broadly into ‘universality-oriented poetry’ and ‘experiment-oriented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individually and minutely analyzed them. That poetry is a genre expressed with emotional language is a matter of common knowledge. Human spirit consists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 lot of his poems were written centering around unconsciousness from his maiden work, “Attending Doctor H.” Poetry is a relatively completed text expressed with emotional language through active imagination, instead of passively listing images under unconsciousness. It is important to divide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of the poetic subject, persona and shadow in Hwang Byeong-seung’s poetry, bearing this in mind. In Hwang Byeong-seung’s poetry, there are characteristics that the former develops centering around social personality, ‘persona’ and ‘universality’ while the latter develops centering around ‘shadow’ in unconsciousness, personality that one wants to hide and ‘experimental nature.’ It might be difficult to classify a piece of poetry into a single tendency, b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former and the latter in his poetry could be divided into ‘passive subject’ and ‘active subject.’ This reflects the monistic world view at which his poetry aims and is analyzed as a poet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