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근대 초 한국인이 위인전을 통해 한국인(조선인)의 정체성을 만들어 간 방법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1908년『대한매일신보』에 연재된 신채호의 「水軍第一偉人 李舜臣」과 1931년『동아일보』에 연재된 이광수의 「李舜臣」이다. 이들 작품은 애국계몽기와 일제강점기에 전통을 중심으로 조선과 조선인의 정체성을 생산했던 지식인담론의 연장선에서 논의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신채호는 역사전기소설을 통해 구한말 근대적 국성과 애국주의를 고양시키고자 전통의 근대적 전환을 통한 ‘국가정신=민족정신’을 고취하였다. 반면에, 이광수는 1920년대 문화적 민족주의사상을 그의 작품에 반영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문학사적 계보에 따라 작품을 분류하며 분석해 간 기존의 연구 방식에 거리를 두고 문화사적 맥락에 따라 두 작품을 분석하였다. 신채호와 이광수가 작품에서 전통을 전유하는 방식에 천착하였으며, 임진왜란 당시 적국인이었던 명인과 일본인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조선인을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This paper is aimed to study how to create the identity of Korean(ChoSeon-In) through biographies at the Early Modern Korea. The texts analyzed are “the greatest naval commander Lee soon-shin (水軍 第一偉人 李舜臣)” serialized in 『Daehan maeil shinbo(Korean Daily News Paper)』(1908.5.2.~8.18) by Shin Chae-ho and “Lee Soon Shin (李舜臣)” in 『Dong-A Ilbo(East Asia News paper)』(1931.7.16.~1932.4.3) by Lee Kwang-soo. These works deserve attention in terms that they could be regarded as an extension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s attempting to create the identity of Cho Seon and ChoSeon-in by focusing on Tradition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era and Japanese colonial era. With the purpose of edifying the modern national characteristics(國性) and patriotism, Shin Chae-ho attempted the modern conversion of Tradition to inbreathe ‘Sate-spirit = National spirit’. On the other hand, Lee Kwang-Soo reflected the 1920s' cultural nationalism in his work. Eschewing the traditional research approaches classifying and examining the works by the genealogy of Korean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two from the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ulture. Also this paper focused on how Shin Chae-Ho and Lee Kwang-soo appropriated Tradition in their works, embodied Chinese of Ming Dynasty and Japanese during Japans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rough this, delineated ChoSeon-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