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문소설에서 천상계는 대체로 부계 가문의 종법 질서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만, 그것으로 천상계의 존재 의미가 온전히 설명되는 것은 아니다. <완월회맹연>의 경우, 결말부분에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 인물들의 천상계 전생담은 단지 기능적인 차원에서만천상계의 작용을 논할 수 없음을 잘 보여준다. 천상계 전생담에서 확인되는 인물들의형상은 지상계 서사의 은폐된 차원을 가시화함으로써 부계 종법 질서를 근간으로 한지상계 가치 질서의 균열을 드러낸다. 표면적으로 <완월회맹연>은 정인성과 소교완의 갈등을 선악갈등으로 형상화한다. 가문의 화합과 조화를 추구하는 정인성은 선인으로서 천상계의 보호를 받으며, 그를 모해하는 소교완은 천상의 섭리에 의해 징치 받는다. 그러나 실상 정인성에 대한 소교완의맹목적 적대 행위는 그녀가 가문 내에서 소외된 약자의 처지임을 보여주는 의미를 갖는바, <완월회맹연>의 서술시각이 부계 중심 가문의 질서를 옹호하는 데에만 국한되어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결말부분에 제시된 천상계 전생담은 지상계의 가문 중심 세계관에 내재하는 갈등과 모순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미를 갖는다. 천상계에서 경하용녀(소교완의 전신)와 태을성(정인성의 전신)은 적대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남성을 매개로 일시적인 모자 관계를 가탁하였을 뿐이다. 즉 천상계의 존재는 부계 가문의 조화와화합만이 절대적으로 여겨지는 지상계의 가치 질서가 인위적이고 상대적인 것에 불과함을 말해준다. 울프(Wolf, M., 1972)가 주장하였듯이 동아시아의 부계 중심 가문 안에는 모계 혈연중심의 ‘자궁가족(uterine family)’도 함께 존재해 왔다. 혈연으로 맺어진 모자(母子) 중심의 자궁가족은 부계 중심의 가문 질서에 노골적으로 저항하지는 않지만 내적으로 균열을 가한다. 이런 점에서 <완월회맹연>에 나타난 이원적 세계관은, 17세기 말∼18세기초 상층 사대문가의 여성 독자들이 경험하고 있었을 부계 가문 중심의 가치관과 모계자궁가족 중심 가치관의 대립적 공존을 형상화한다.


In family novels, celestial world usually upholds order and harmony inpaternal family. But in Wanwolhoimangyeon, feature and meaning of celestialworld cannot be simplified so. Rather, stories in celestial world expose hiddenaspects in earthly world oriented to paternal family order. Superficially, characters of Jung insung and So kyowan are described asgood and evil in Wanwolhoimangyeon. Jung insung who pursue accord inpaternal family is depicted as a moral character and protected from celestialworld. On the other hand, So kyowan who opposes to accord and harmonyin paternal family is punished by celestial world. But actually, her hostilityagainst Jung insung shows that she is isolated. Viewpoint of this work isnot restricted to support absoluteness of paternal family order. In this context, stories in celestial world act to show contradiction inpaternal family order of earthly world. In celestial world, Kyunghayongnyeo(So kyowan) and Taeulsung(Jung insung) are hostile to each other. Theirrelation as mother and son is valid only temporarily in earthly world. In short,celestial world tells that earthly world oriented to paternal family order isnot absolute. As Wolf, M.(1972) emphasized, paternal family in East Asia had impliedmother-centered uterine family. Uterine family, though not opposing topaternal family order explicitly, makes cracks in it. Regarding this, dualismin Wanwolhoimangyeon embodies disintegration between paternal family orderand maternal uterine family, which would be the reality of women in nobleclass from late 17th to early 1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