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가사에 나타나는 주류적 담화 양식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대화체로구성된 <거사가>와 <임천별곡>에 나타난 대화의 기능과 특성을 살펴보고, 대화체 가사의 체계 내에 본 작품들을 자리매김하고자 한다. <거사가>는 대화체를 취하고 있지만여성 화자에게는 발언의 기회가 적어 실제로는 거사의 발언이 중심이 되고 있으며, 거사의 발언은 소통을 위한 것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피력하기 위한 독백에가까운 것이었다. <임천별곡>은 전반부에서는 생원과 할멈의 대화를 통해 사건을 전개하고, 후반부에서는 독백체의 긴 발언을 통해 두 인물의 대립적인 세계관을 토로하였다. 두 작품 모두 대화체를 통해 사건을 전개해 나가는 한편, 등장인물의 내면을 묘사하였다. 즉, 대화체를 통해 ‘사건 전개’와 ‘내면 토로’라는 두 가지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다는것이다. 이 작품들을 대화체 가사의 분류 체계 속에서 보자면, 텍스트 구조상, 개별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방식은 대체로 개화가사에 이르러 보편화되는 것이다. <거사가>와 <임천별곡>이 비교적 이른 시기에 텍스트 내부 대화의 방식 을 본격적으로 활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작품들을 대화 방식에 의해 분류하자면<거사가>는 문답형, <임천별곡>은 언쟁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하지만, 두 작품 모두각 유형에 속하는 여타의 작품들과는 적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또한 두 작품 모두 남녀간의 애정을 다루고 있기에 애정가사의 범주에 귀속되지만 기존의 애정가사와는 내용상,표현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부분의 애정가사가 이별후의 상황에서 자탄조로 그리움을 노래하는데 비해, 본 작품들은 구애의 현장에서 포착되는 성적 욕망을 서술하고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는 대화체라는 독특한 표현 방식과 깊은 관련이 있다. 대화체를 통해 인물을 형상화하고 사건을 실감나게 전개하면서 서사성까지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이 작품들은 서사가사의 범주로 분류하기도 하며, 서민가사로 분류되기도한다. 이렇듯 <거사가>와 <임천별곡>은 대화체로 애정사를 다루며 사건을 전개해 나가면서 동시에 인물의 내면까지 표현해 내는 복합적 면모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가사 장르에 내재된 포용성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Kasa is a form of Korean classical verse having indefinite number of lineswith tetrameter. In most Kasa a poetic narrator as the author's alter egospeaks about the theme directly. However, some of Kasa adopt the voicesof characters like in a drama instead of author's direct voice, and they arecalled dialogue style Kasa. <Geosaga(The Song of a Buddhist Monk)> and<ImchunPyulgok(The Song of Imchun)> are composed of two characters'dialogue. These two works seem to use the way of speaking far from thetypical way found in most Kasa. This paper aims at identifying these twoworks as dialogue style Kasa. <Song of a Buddhist Monk> consists ofdialogue between a buddhist and a young beautiful widow. The monk fallsin love at first sight, but the widow does not because she wants to be avirtuous woman. However, he renounces his monastic life and joins thesecular society with her. They do not seem to communicate well since thewidow talks only one time while the monk talks too much. Even the monk’sspeech looks like a monologue because he does not care about the widow'sanswer and talks only about his feelings and desire. <The Song of Imchun>consists of dialogue between an old man and an old woman. The old manwho is a declasse aristocrat wants to sleep with the old woman who is alowly person. She denies because he is old and poor. Both Kasa works developthe story in the beginning, and reveal the inner side in the latter half. Therefore, the function of dialogue is a development of the story and expression of feeling or thoughts. There are two different types of dialoguestyle Kasa ; one is speaking within one text, and the other is speaking betweenmore than two texts. <The Song 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Imchun> are unique in that they carry the former style which was popularafter 20th century, but they were actually written in the 18th and 19thcenturies. They are categorized as love Kasa which deals with variousaspects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However, while most love Kasadeal with sorrow of parting, these two works deal with sexual desire. Sosomes cholars categorized these two works as narrative Kasa. <The Songof Buddhist Monk> and <The Song of Imchun> are unique in expressionstyle and contents, and this complexity is based on flexibility of Ka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