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20세기 초에 편찬된 가집인 가람본『가곡원류』의 독자적 특징과 시가사적의미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원가』의 큰 특징 중 하나는 800여 수의 작품이 수록된다른 가곡원류계 가집에 비해 그 절반가량인 446수의 작품만이 수록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원가』는 국립국악원본 『가곡원류』와 같은 가집에서 축약되어만들어진 抄出本정도의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가집의 내부를 면밀히 살펴보면, 이전 시기와는 변별된 20세기 초 가곡 문화가 반영되었고 그에 따른 가집 편찬의 변화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확인된다. 먼저 가집서두부에는 이론적 歌論을 중시하기보다는 가곡 연행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을 우선시하여 시절가 및 가곡 장단법, 연음목록, 반주법 등을 수록하였고, 편제의 측면에서도 <장진주>를 가곡한바탕 밖에 위치시키는 등 당대 가곡 연행 환경에 맞는 가집 편집이이루어졌다. 무엇보다도 『원가』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가곡부의 변화이다. 전체 수록 작품이 줄어든 것은 대표 사설화 현상을 통한 가곡 연행의 실질에 최적화된 가집으로 편찬된 것이라할 수 있다. 또한 이 가집에서 보이는 ‘우․계면 평준화 현상’은 19세기 말—20세기 초가곡문화에 나타난 대표 사설화, 가곡한바탕이 양식화 되어가는 경향들이 반영된 결과로볼 수 있다. 요컨대『원가』는 대표 사설화, 우․계면 평준화, 가곡한바탕의 양식화 등 변모된 20세기 초 가곡문화가 집약되어 편찬된 가집이며, 외적으로 가곡원류계 가집의 틀이 반영되어 있지만 내적으로는 ‘가곡원류 문화권’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당대의 특징적인 가곡전변상을 담고 있는 ‘재편된 가곡원류’라 평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nd unique featur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Gagokwonryu(Garam's collection) was compiled in the early 20th century. Gagokwonryu(Garam's collection) is not simply abbreviated as 'the extraction' but appears this aspect of the early 20th century, which previous period with a completely differentthe, song culture and reorganized aspect. Eexcept this work is reduced in half, It seems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Gagokwonryu(Garam's collection) and other Gagokwonryus. However, if you carefully study the contents of Gagokwonryu(Garam's collection), this 'Gajip' can be found in features a reorganized according to contemporary Song culture and Banquet environment. First, Introductions of Gajip priority includes Jangdan Notation, the Musical Notation of the Slur, the Accompaniment according to contemporary Song culture and Banquet environment rather than Song theory. In terms of organization, <jangjinju> was located outside Hanbatang of Gagok. As a result, the editing took place for the song playing. Above all, it is to be noted that part of the song change in Gagokwonryu (Garam's collection). The work was reduced to number 446. This can be seen to have been compiled in a more efficient and optimized Gajip according to contemporary Song culture and Banquet environment through represented by the description. In addition, this Gajip seems to have leveled phenomenon of ouzo and gyemyeonjo. It appeared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representative song culture the editorial, Hanbatang of Gagok is formatted songs can be regarded as a result they tend reflected. In short, Gagokwonryu(Garam's collection) is represented by the editoria, leveled phenomenon of ouzo and gyemyeonjo, Hanbatang of Gagok of stylized transformed intensive culture of the early 20th century, is a compilation of song culture that Gajip. Externally this is reflected in the framework of the Gagokwonryu. But it can internally assessed 'The reorganization Gagokwonryu' to th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songs that contain the changeableness, Aparted from a cultural area of Gagokwonr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