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신수이(愼守彛, 1688~1768)의 한역시조 6수를 소개하고 이 작품의 시조사적 의의를 고찰한 것이다. 신수이는 18세기 거창에 거주한 도학자이다. 그는 <호탄가(浩歎歌)>(1수), <사생가(死生歌)>(3수), <자경가(自警歌)>(1수), <충신가(忠信歌)>(1수) 등 4편 6수의 시조를 지었는데, 현재 그 원문은 전하지 않고 아들 신의명(愼義明, 1725~1790)이 한역한 것만 문집에 실려 있다. <호탄가>는 성인의 덕성을 본받으려는 노력을 게을리하는 유학자들을 비판한 노래다. <사생가>는 부인의 죽음을 제재로 하여 생사의 문제를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는 연시조 작품이다. <자경가>는 만년에 얼마 남지 않은 여생 동안에도 흐트러짐 없이 살기를 스스로 다짐하는 노래이며, <충신가>는 언행을 바르게 하기를 포기한 세태를 한탄한 노래다. 신수이의 시조는 18세기 향촌사족 시조 중 경남 지역 작품으로는 처음으로 발굴된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뿐만 아니라 그의 시조에서는 지금까지 18세기 향촌사족의 시조에서 별로 찾아볼 수 없었던 개성적 면모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troduce six Sijos of Shin Su-i(1688~1768) translated into Chinese and investigate their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Sijos. Shin was a moralist that lived in Geochang in the 18th century. He created four volumes and six pieces of Sijo including Hotanga(one piece), Sasaengga(three pieces), Jagyeongga(one piece), and Chungsinga(one piece). Their original scripts are not found today, but there are their translations into Chinese in the collection of his works published by his Son Shin Ui-myeong(1725~1790). In Hotanga, the poet criticized Confucian scholars that were not working hard to emulate the saints and their virtue. His Sasaengga is a Sijo series about his serious contemplation over the matter of life and death after his wife passed away. In Jagyeongga, he was determined to continue to live without losing his direction in the remaining days of his old age. In Chungsinga, he lamented over people that gave up on the right word and action. Shin's Sijos claim huge significance as the first discovered Sijos written by a member of local prestigious family in the country of Gyeongnam in the 18th century. Furthermore, his Sijos are worth noticing in that they contain many characteristic aspects rarely found in the works of members of prestigious family in the country in the 1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