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시대 개인문집 소재 孝子傳의 주인공은 일반적 인간과는 다르다. 사적 감정을 거의 지니지 못하기 때문에 ‘孝를 행하는 기계’와 같다. 효자의 행위를 기준으로 할 때, 효자전은 현실지향형과 이상지향형으로 나뉜다. 현실지향형에서는 작자가 個別的 孝子觀에 입각하여 효자의 인상적 국면을 포착하고, 이상지향형에서는 작자가 集團的 孝子觀에 의거하여 ‘효행 보따리’에서 전형적인 효행을 끄집어낸다. 유형이 다르기 때문에 유교적 효윤리 체계도 다르다. 그 차이는 ‘간절한 기도’의 유무이다. ‘간절한 기도’ 내용이 없는 현실지향형에서는 ‘기본에 충실한 효자의 태도’가 강조되고, ‘간절한 기도’ 내용이 있는 이상지향형에서는 ‘우주적 성명을 체인하는 효자의 태도’가 강조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유교적 효윤리 체계의 특징을 찾아낼 수 있다. 孝를 사회규범보다 상위에 올려놓는다는 점과 이른바 ‘유쾌한 속임수’를 구사하며 ‘있는 것’의 가치에서 ‘있어야 할 것’의 가치로 나아간다는 점이 그것이다.


The protagonists of filial son stories in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published during Joseon are different from common people. They can have almost no personal feelings and thus act like "machines performing filial duties." Filial son stories can be divided into reality- and ideal-oriented ones according to the acts of filial sons. In the former, the writers capture the impressive aspects of filial sons based on their personal viewpoints of filial sons. In the latter, the authors extract typical acts of filial duty from the "package of filial behavior" based on the collective viewpoint of filial sons. Since they have different types, they show different Confucian filial duty ethics systems. The differences mainly come from whether there are "desperate prayers" or not. The reality-oriented filial son stories with no content of "desperate prayers" put an emphasis on the "attitudes of filial sons that are loyal to the basics" whereas the ideal-oriented ones with content of "desperate prayers" highlight the "attitudes of filial sons that recognize the providence of universe." By taking those into consideration, the investigator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Confucian filial duty ethics systems, and they were the higher standing of filial duty than the social norms and the move from "values that are present" toward "values that should be present" by doing so-called "pleasant tr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