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6․25 전쟁을 전후로 하여 신문광고의 광고언어에 나타난 화용론적 변화를 살펴본 연구이다. 전쟁을 겪은 후 나타난 물자 부족 등이 외국 제품의 사용 증대로 이어졌고, 이것은 다시 언어에서도 외국 제품명에 대한 한글 표기와 광고 언어의 양적 증대로 이어졌다. 즉 한자어로 표기할 수 없는 외래어 표기를 한글로 표기하는 사례가 점차 늘어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작은 요인들이 한글 사용 확대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여러 가지 정보를 한꺼번에 많이 표현하려는 광고주의 욕구는 광고 언어의 양적 증대로 이어졌고 이는 6․25 전쟁 이후의 광고 언어에서 대용, 동일구조 반복, 용인성 등 결속 구조의 사용을 늘리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 이러한 것은 오늘날 텍스트로서의 광고 언어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광고 언어의 초창기 모델로 자리잡는 역할을 하였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pragmatic changes in the advertising language in the newspaper advertisements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shortage of the commodities after the Korean War resulted in the increasing use of foreign goods, which naturally led to the increasing use of the transcriptions or the advertising languages for the foreign goods. Consequently, the Hangeul alphabet transcriptions of the loan words which were not able to transcribe into Sino-Korean words were increased continuously.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se factors influenced the enlargement in the use of Hangeul more or less. In addition, the advertiser's desire to express various information much at one time led to the quantitative increasement of advertising language, which resulted in the increasing use of the cohesion including substitution, repetition and acceptability in the advertising language after the Korean War. Considering these tendenci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advertising language as a text today, they performed a role in settling into an initial model of the advertising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