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석보상절』의 교정본으로 알려진 권 6, 9, 13, 19에서 개서(改書)의 대상이 된 한자음이 무엇인지 확인하고, 이들이 개서된 원인을 파악하는 데에 있다. 나아가 이 글에서는 교정본의 교정 내용이 후대의 문헌인 『월인석보』에 반영되어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석보상절』에서의 교정은 동국정운식 교정 한자음 표기를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한 작업이었음을 확인하였다. 교정본에서는 『동국정운』과 다르게 표기된 오류를 수정하였을 뿐만 아니라, 한자의 용법에 따른 교정과 불교 용어에 대한 교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월인석보』에서는「上」과 「行」을 제외한 모든 표기가 『석보상절』의 교정된 표기와 동일하게 나타난다. 「上」과 「行」은 『석보상절』에서도 교정본에 따라서 교정의 여부가 달리 실현되고 있는데, 이는 교정자(校正者)가 한자의 용법을 해석한 방식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confirm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which was chosen for target to rewrite from 6, 9, 13, 19-known as the recension of 『Seokposangjeol(釋譜詳節)』 and find out the reason for rewriting. In this article, futhermore, we examine whether the rewriting content of『Seokposangjeol』's recension was really reflected in 『Worinseokpo(月印釋譜)』 or not. As a result, we find out that the sound of Sino-korean characters transcription which was different compared to 『Donggukjeongun(東國正韻)』 adjusted to follow the same sound transcription in 『Donggukjeongun』. In recension version not only rewrote the contents compared with 『Donggukjeongun』's writing pattern but also did the rewriting work followed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 and Buddhist words. Also in 『Worinseokpo』, every sound transcription except 「上」 and 「行」 is same in 『Seokposangjeol』's transcription system. As the rewriting method 「上」 and 「行」 was quite different between the versions of 『Seokposangjeol』's recension, it came from the different understanding the usage of each letter between the proofread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