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개화기 학술지에 수록된 계몽담론 저작물의 언술구조가 지니는 가장 큰 특징은 계몽담론 생산주체인 개화기 지식인 자신을 지식인 공동체로 확장하고 이를 다시 계몽의 대상으로 상정된 대중으로 확장시키는 주체확장의 서술전략을 채택한 점이다. 개화기 지식인들이 마주한 새로운 지식담론들을 스스로 체화하고 이를 대중들과 공유함으로써 미증유의 공동체의 위기를 타개하는 데 필요한 실천주체를 생산하기 위하여 교육흥국론을 앞세운 지식중심의 계몽담론은 그 생산과 소비 과정이 생산주체와 소비주체 및 실천주체를구별지을 수 없는 통합적이고 단일한 담론주체를 전제해야 하는 것이었다. 개화기 학술지의 저작물들은 이러한 지식중심 계몽담론이 지닌 단일주체담론을 언술구조 차원에서반영하고 있는바, 개화기 계몽적 저작물들은 실질적으로 자기 자신을 향한 재귀적 언술 구조로 귀결될 운명을 지닌 것이었다.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던 기층 민중들을 실천의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개화기 계몽담론이 지니고 있었던 재귀적 언술구조는 필연적으로 자기만족적이며 폐쇄적인 순환구조로 변화되면서 결과적으로 기층민중의 폭발적이고실질적인 계몽적 실천을 이끌어낼 수 없었다. 비록 외부 조건의 급변이 빚어낸 국권상실의 상황으로 주체적 계몽기획이 실패로 이른 것임은 분명하나 이에는 지식중심적 계몽담론이 지닌 자족적 언술구조의 필연적 실패에서도 한 이유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trategy of the structure of statement of academic journal in Korean Enlightenment Period especially centering on the published media for intellectuals who had the literacy for the Korean alphabet system and the Chinese charater system. They were also the traditional educated person and the intellectual for the Korean modernization. The major feature of structure of statement in the writing of their Enlightenment discourse is the reflexive structure of statement. They used the first person single subject, i.e. 我, 余, 吾(in korean means ‘I’) and the plural 吾等(in korean means ‘We’). At first, they expressed the wiriter himself of their articles to the letter by the first person subject. But secondly they indirectly expressed the public collectiveness of the practice subject of enlightenment project of socio-education progress for Korean modernization. Even if their intention were proper alternative for Korean modernization by making strenuous effort, and they expected that general Korean people would symphasize their enlightenment discourse and take part in the project of socio-education progress, during the Japanese and Europian expansionism policy(an effort to divine and rule the Ch’ing and Asian countries), their intention were destined to the their own self-contentment. As a result, the articles strategy of the structure of statement of academic journal in Korean Enlightenment Period could not convince people why they learn modern knowledge, i.e. technology, geology, philosophy. and how they make the best use of new acquaintance with th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