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신적 외상이라 번역되는 ‘트라우마’는 충격적 경험이 잠재의식에 각인되었다가, 때때로 무심코 떠올리는 기억으로 드러나 심대한 정신적 고통을 유발하는 병증이다. 전쟁과 같은 사회적 위기 상황은 심각한 트라우마의 요인이다. 동족상잔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부가된 한국전쟁은 정신적 충격의 지수를 증폭하는 변수가 더해지면서 개인은 물론 한국 사회 전반의 위기 상황을 심화하였다. 특히 전후의 이데올로기적 억압 구조와 그 담론적 실천 국면은 한국전쟁 트라우마를 사회적 차원의 문제로 비화시켰다. 이에 대한 서사적 대응 양상은 서사를 통해 말문을 틔우는 치유의 전략에 수렴된다. 이청준을 비롯하여 한승원이나 임철우 등의 소설에 드러나는 서사적 형상은 이런 맥락에서 의미심장한 문학적 병리학의 단서라 할 수 있다.


Trauma is the unconscious mechanism causes some serious mental disorders derived from the past shocking memories. Unexpected critical situations of communities in war are the severe sources of traumas. The Korean War that has some variables related with the specific factor of the fratricidal war deepened the crises of the whole society and mass-produced personal and social traumas. Ideological oppressions and discursive practices of anti-communism in the post-war periods were the hotbed of the wicked social traumas. The narrative therapies could be the efficient strategies for confronting the painful memories and speaking the traumatic stories openly. Chongjun Lee, Seungwon Han, and Cholwoo Lim are the leading novelists who presented some clues of literary pathology for the recovery of Korean War traum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