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양이목설화의 서사층위는 두 가지이다. 서술층위와 인물층위가 그것이다. 서술층위에서는 ‘璃目’의 위상이 보양에 비해 낮고 인물층위에서는 ‘이목’의 위상이 보양과 대등하거나 오히려 높다. 인물층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인물 특히 ‘이목’을 주목해야 한다. 이목이 중심이 되는 사건은 네 가지이므로, 이 네 가지가 인물층위를 형성한다고 보면 된다. 인물층위에는 대칭적 세계관과 공동체 의식이 나타난다. 이목만이 지닌 특징이 인물층위를 지배하므로, 인물층위가 신화시대의 대칭적 세계관과 전설시대의 공동체 의식을 내장한다고 해도 좋을 것 같다. 인물층위의 자양분은 민간설화이다. 민간설화로는 세 가지 유형을 들 수 있는데, 보양이목설화는 이 중에서 전설시대의 의식이 담긴 보양이목설화 유형을 수용했으리라 본다. 보양이목설화의 인물층위는 보양이목설화 유형의 거울이다. 인물층위가 시대를 비추고 유형을 가늠하게 하며 화자의식을 되짚어보게 한다.


The Boyangimok tale has two narrative layers, that is, the story-telling layer and the character layer. In the story-telling layer, the status of 'Imok' is lower than that of Boyang. In the character layer, the status of 'Imok' is equal to that of Boyang, or rather higher than that of Boya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character layer,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character, Imok'. The events in which Imok is the main character are four. Therefore, these four events form the character layers. The symmetric outlook on world and the communal spirit appear in the character layers. Imok's own features rule the character layer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character layers contain the symmetric outlook on world of the mythological age and the communal spirit of the legendary age. The nutritive elements of the character layers are folktales, which have three types. Among them, the Boyangimok tale accepts the type of the Boyangimok tale in which the spirit of the legendary age is contained. The character layer of the Boyangimok tale is a mirror of the type of the Boyangimok tales. The character layer mirrors the period in question, gauges the types, and helps to trace back the speaker's conscious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