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한 모국어 화자 수업의 첫 만남에서 일어난 대화 데이터를 일본인 남자 3조 6명, 한국인 남자 4조 8명 총14명을 수집해서 첫 만남의 화제 개시부에 초점을 맞춰서 화제도입의 패턴과 발화 기능을 관련시켜서 비교․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화제도입 패턴은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즉시적인 개시가 47%로서, 스스로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하거나 대화 상대의 도입 발화를 받아서 즉시 그 화제에 관련된 것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시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보다 화제의 전환이 빨랐고, 공통화제에 대해서 양쪽 의견이나 설명을 구체적으로 교환하기 위해서 화제 하나하나에 걸리는 시간이 길었다. 이런 결과를 통해 한국어 모국어 화자는 관련 화제를 전환하면서 한쪽 사람이 말하기 또는 양쪽으로 의견을 말한다는 화제 전개 strategy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또한,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화제도입의 패턴은 점차적인 개시의 상호형이 70%를 차지해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발화자 양쪽 모두 질문과 대답을 적절하게 하면서, 맞장구, 시간적인 사이 등 화자 교체를 빈번하게 하면서 회화를 진행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과 발화기능을 관련시켜보면 일본어 모국어 화자는 첫 만남 회화에 있어서 자신의 의견이나 상황을 구체적으로 말하기 보다는 자발적으로 나왔던 정보나 상태의 상황에 대해서 의견을 적극적으로 말하는 것이 아니라, 소감을 말하고 상대를 칭찬하거나 상대와 비교해서 자신을 반성하는 등의 평가를 하는 것으로 서로의 거리를 좁히는 화제 전개를 하는 경향이 있다고 말 할 수 있다.


This research project examines the functions of speech and topic introduction patterns using the compiled data from conversations between native Japanese and Korean speakers. The results of a comparative analysis showed four characteristics among Korean speakers: 1) the topic introduction patterns of native Korean speakers 47% of the time comprised immediate opening topics, 2) there was a tendency to speak about oneself and immediately enter into a conversation regarding a specific topic, following a leading expression by the conversational partner, 3) native Korean speakers changed topics sooner than native Japanese speakers, and 4) when topics were of common interest to both speaker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was spent to allow both speakers to share their opinions and explanat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 through related topics, the conversational strategy of native Korean speakers generally involves either a conversation by one speaker or the mutual sharing of opinions by both parties. Conversely, the topic introduction patterns of native Japanese speakers included a gradual and reciprocal style 70% of the time, which is a finding corroborated by prior research. Relating this finding to the functions of speech, for native Japanese speakers conversing at their first meeting, characteristics such as developing conversation by sharing specific details about themselves, providing their opinions, or describing their circumstances are atypical. Instead, there is a tendency to develop conversation in a manner that bridge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peakers, not by proactively expressing opinions, but by simply sharing impressions, praising the other person, or reflecting on oneself in response to information that spontaneously arises during the course of convers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