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미야자와 겐지의 동화는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 하나로서 종교성을 들 수있다. 켄지의 종교를 이해함으로써 그의 동화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보고본 논문에서는 그의 작품을 통해 켄지와 법화경과의 만남에 의한 켄지의 의식의변화를 연구하고자 한다. 동화를 통해 본 종교적인 감성을 기반으로 켄지의 상상력은 그의 종교적 세계관과 작품관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켄지의 법화경과의 만남이나 법화경의 실천을 작품 속 에서 볼 수 있다. 켄지의 동화 「 십력의금강석 」,「 목련 나무 」, 「 용과 시인 」을 중심으로 작품 속의 불성, 법화경, 대중 구제의 방편으로 해석하고 고찰한다. 켄지의 세 작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 연구를 통해서 정확한 근거를 제시하여 독자의 궁금증을 충족하기에는 불충분하다. 그러나인간의 감성 또한 문학과 종교의 연구라면 작가의 사고, 그의 일생을 보여주는작품을 감상하고 더 나아가 작가의 내면에 다가설 수 있다. 작가가 가지고 있는불성, 종교적 측면에 대하여 필자는 위의 세 작품을 통해 고찰하였다. 사람은 누구나 불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불성은 법화경과의 만남으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부처의 가르침인 법화경과의 만남은 대중 구제 수단으로볼 수 있다. 법화경을 주요 경전으로 삼고 있는 일련종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세상을 부처가 사는 세상으로 본다. 따라서 현실 세계를 정토의 세계로 만들기위해 경전을 통하여 대중에게 포교하고자 했다. 이러한 포교와 가르침을 켄지는자신의 작품을 통해 전하고자 하였다. 켄지는 자신의 동화가 대중 구제의 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한작가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서 소개한 동화를 통하여 법화경을 일반 대중에게전하고자 하는 켄지의 의지를 엿볼 수 있다. 켄지는 작품을 통해 간접적인 포교활동을 행하였고 또한 위의 작품은 법화경의 가르침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작품이라는 점에 그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법화경은 다른 경전과 달리 상징적인 표현이 많은 문학적 가치가 높이 평가되고 있는 경전이다. 이는 줄거리를 가진 문학의 특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징적 표현이 많기 때문이다. 또한 독자에게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여 자신만의 해석도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법화경의 특성은 켄지의 동화의 특성과도 부합하는 요소가 된다. 이러한 요소가 법화경을 상징하는 공통점을 가진 동화로 선택된 위의 세 작품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불성, 법화경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 그 관련성을3가지로 정리해 보면 작품 중에 등장하는 법화경의 사상 속 물아일체, 자타일체의 사상이다. 그리고 「십력의 금강석 」 의 금강석, 「목련 나무 」의 목련나무,「용과 시인 」으로 용이 읊은 시를 통해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불성이존재하고 그 불성은 법화경을 통해 실현된다는 점이다. 마지막으로 법화경을의미하는 상징적인 매체가 나온다. 「십력의 금강석 」에서는 이슬,「목련 나무」에서는 각자(覚者)의 善, 「 용과 시인 」에서는 붉은 구슬로 표현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켄지의 세 작품을 고찰하였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enji Miyazawa’s fairy tales is religiosity. With a view to having a better grasp of his fairy tales through understanding Kenji’s religion,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consciousness brought out by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Kenji’s imagination based on his religious sensibility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influenced his view on the world and his works. His encounter with The Sutra of the Lotus or his practice of this scripture can be examined in his works. This study examines the Buddhahood and ways of relieving the public in the Sutra of the Lotus as reflected in his fairy tales such as 『Ten Powers of the Diamond』, 『Magnolia』 and 『The Dragon and the Poet』. A study of the relevance of the Buddhahood and the Lotus of Sutra to his three works has provided enough evidence to satisfy readers’ curiosity. Nevertheless, as human sensibility is also a study of literature and religion, we can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inner workings of Kenji’s mind upon examining his works that reflect his thoughts and life. This study examines those three works mentioned abov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uddhahood and religion. Everyone has Buddhahood, which can be realized upon her encounter with the Lotus Sutra. As such, an encounter with the Lotus of Sutra, teachings of the Buddha, can be seen as a means of relieving the public. NichirenSyoshu, whose major scripture is the Lotus Sutra, sees the world we live in as the one where the Buddha also lives. It trie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o the public through this scripture. Kenji wants to propagate its teachings through his works. Kenji can be regarded as an author who does his best in his role of the medium of relieving the public through his fairy tales. The three works mentioned abovereveal Kenji’s intention of introducing the Lotus Sutra to the general public. He is indirectly doing the missionary work through his fairy tales. The above-mentioned three works are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they symbolically express the teachings of the Lotus Sutra. Unlikeother many scriptures, Lotus Sutra is full of symbolic expressions and is considered to have much literary values. It has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having a story as well as plentiful symbols. It also allows readers to imagine and enables them to arrive at their own interpretations.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Lotus Sutra accord with those of Kenji’s fairy tales. Through the three works chosen on the basis of the commonalities with what the Lotus Sutra symbolizes,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ddhahood in people and the Lotus Sutra. The relatedness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is the idea of being oneself in unison with the others and the things, expounded in the Lotus Sutra, is present in these works. Second, the diamond of the 『Ten Powers of the Diamond』, the magnolia in 『The Magnolia』 and the poems the dragon recites in 『the Dragon and the Poet』signify that the Buddhahood is present everywhere and it can be realized through the Lotus Sutra. Finally, there are symbols of the Lotus Sutra in these works—the dew in 『Ten Powers of the Diamond』, each line used in depicting the magnolia In 『Magnolia』, and the red bead in 『The Dragon and the Poet』. This paper examines the three works of Kenji in terms of these three conn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