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노인은 헤이안시대 중기, 섭관시대에 활약한 가인이다. 『고슈이와카슈』를 포함한 이후의 칙찬집에 65수가 뽑힌, 중고삼십육가선의 한명이다. 가도(歌道)에 집심하여, 출가한 이후에 전국 곳곳의 우타마쿠라(歌枕)를 탐방한 후 남긴 많은 와카(和歌)는 노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있다고 지적할 수 있다. 노인의 자선가집인 『노인법사집』은 노래를 읊은 연대순으로 엮어 자서전과 같은 형식을 취하고 있기에 전기(伝記)자료로서 많은 주목을 받아왔다. 그에 비해 수가선(秀歌撰)인 『겐겐슈』는 그 내용, 특히 어떤 노래를 몇 수 선택하여 가집을 구성하고 있는지는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본고는 그러한 점에서 분류를 통한 정량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류의 기준이 되는 것은 『슈이슈』와의 중출가이다. 『슈이슈』는 노인이 살아 있는 동안 편찬된 유일한 칙찬집이며, 수가선으로서의 권위를 갖는 가집이었다. 그러한 가집에서 노인이 어떠한 노래를 선택했는가를 (1)절에서 다루었으며, (2)절에서는 중출가 가인의 『겐겐슈』에서의 노래를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노인이 독자적으로 선택한 가인의 노래에 대해 보았다. 그 결과, ①자연영(自然詠)과 인사영(人事詠)으로 나눴을 때, 인사영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있다 ②자연영은 전통적인 기법을 중시하는 한편, 기교가 배제된 서경가도 선택하고 있다 ③인사영 또한 전통적인 기법이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슈이슈』에 선택되지 않은 가인들의 노래에서는 침린가(沈倫歌)가 많은 점을 지적할 수 있다 ④우타마쿠라(歌枕)를 읊은 노래가 많은 점은 『노인법사집』과 공통되며, 그것은 노인이 일생을 통해 각국을 여행한 결과이다 ⑤여행의 또 하나의 결과로서, 수도를 상대화하고, 자연을 모개로 하여 끊임없이 수도로 회귀하고자 하는 태도가 보인다. 이러한 『겐겐슈』의 특징은 『노인법사집』과 통하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노인법사집』 또한 연가(恋歌)로 가집이 시작되며, 먼저 세상을 떠난 지인을 그리는 노래, 자신의 늙음을 한탄하는 노래 등, 인사영이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두 가집은 모두 노인의 만년, 거의 같은 시기에 엮어진 것으로, 칙찬집과 같은 부타테(部立) 형식을 취하고 있지는 않으나, 『겐겐슈』의 선가에는 이러한 노인의 경험과 의식이 작용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Noin is a poet in the mid-Heian period during the Sekkan era, and was one of the the Thirty-six Immortals of poetry. 65 poems of his poetry were selected in “chokusen wakashu” including “Goshui Wakashu”. Noin’s characteristics can be found in many tanga poetics which he wrote while travelling across the country after he became a monk and devoted himself in poetry. His personal collection, which is also known as “Noinshu”, has received a great attention for a biography material as it compiled poetry in chronological order. This article attempts a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classification on the content of “Gengen shu”; one of the anthologies of excellent poetry. It focuses on the criteria of selected poems, which is the number of reiterated poems in “Shusishu”. “Shusishu” is the only “chokusen wakashu” published when Noin was alive, and it is also a collection of poems which has a level of authority similar to the anthologies of excellent poetry.In this article, chapter 1 is about what poem did Noin selected from “Shusishu”, and chapter 2 is about poetry in “Gengenshu”, and the last chapter is about poetry by a tanga poet which is selected by Noin. Firstly, it can be known that he chose poetry of human affairs than poetry of nature. Secondly, while poetry on nature put an emphasis on traditional technique, he also chose a descriptive poetry which eliminated technique. Moreover, it can be pointed out that most poetry on human takes traditional technique, and poems which were not selectedin“Shuishu” are mostly the poetry of lamentation. It has in common with “Noinshu” that there are many poems about “Utamakura (The Poem of the Pillow)” , and that shows his whole life travelling around the country. Lastly, his attitude of aspiration of going back to the capital after a long travel is described in the poem by relativizing capital and describing nature. In this context, it can be said that “Gengenshu” is similar to “Noinshu”. “Noinshu” also starts with poetry of love, then comes with cherishing the memory of departed friends, and lamenting of aged himself and etc. In sum, poetry on human affairs comprise big part of the collection. Both collection were published at similar time during Noin’s latter years. Although it does not take same butate form like in “Chikchanshu”, it can be said that Noin’s experience and consciousness are reflected on his selection of poetry in “Gengen sh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