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화와 소설은 문자와 영상이라는 상이한 매체를 토대로 탄생한 장르이지만, 두 장르 똑같이 서사를 기초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설을 기초로한 영화 각색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원작 소설의 각색이 얼마나 충실히 원작을 따랐느냐에 관건이 되기도 했던 영화에의 각색이 이제는 원작 소설가와 영화 감독간의 다른 세계관, 매체의 차이에서 오는 상상력 작동이 다를 수 밖에 없음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면서, 원작 소설의 영화에의 각색이 장르의 서로 상이점을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로 작용한다. 영화 <경마장 가는 길>이 상영되었을 때, 가장 관심의 초점이 되었던 것 역시 포스트 모더니즘 소설을 어떻게 영상적 이미지로 처리되었나였다. 서사를 지연시키는 조작된 현실은 소설에서는 ‘자초지종을 알 수 없는 현실’로 결국 R이 J와의 관계의 악화를 인정하지 않으려는 R의 왜곡된 현실 인식에서 비롯된 현실이다. 그러나 영화에서의 ‘자초 지종을 알 수 없는 현실’은 단지 R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으로 그려지고 있다. 영화에서는 자초지정을 알수 없는 어떤 현실의 힘이 R을 좌지우지하는 불안으로 드러난다. 이것은 카메라의 분주한 움직으로 드러낸다. 그래서 일반영화에서는 서사의 초점인물에 맞추어져 있지만, <경마장 가는 길>에서는 카메라의 초점은 서사의 중심을 이루는 사건보다는 사건의 변두리에 끊임없이 관심을 환기시키며, 주위를 서성거린다. 그러나 소설에서처럼 인물의 불안이 심도있게 드러나지는 않는다. 소설 <경마장 가는 길>을 작가 하일지가 그대로 각색한 영화 <경마장 가는 길>은 서사의 변용 과정은 거의 찾아 볼 수없다. 그러나 문자 매체와 영상 매체라는 장르의 차이에서 오는 강화된 부분과 드러낼 수 없는 부분이 있을 뿐이다. 소설은 후기 산업주의에서 나타나는 포스트 모더니즘 기법을 통해서 식민화된 지식인의 무의식을 잘 드러내었다는 점에서 성공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영화에서는 영상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징으로 인해 이 소설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매타픽션적 글쓰기나 지식인의 무의식적 주체를 드러낼 수 없었기 때문에 소설만큼 영화는 성공하지는 못했다.


Film and novel are created on each different medium which are letter and image. However, since both are based on prologue many, novels produce story lines for films. It used to hold the key to adapt for the screen just like the original, but now they recognize that motive of imagination is also created by difference mediums. And novel's adaptation for the screen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two mediums clearer. When the film, 'Road to the Racecourse' was being on show, the most concentrated point was how the image got shaped by post-modernism novel. In the novel, 'reality of chaos' is the reality that created from R's distorted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 and himself. But in the film, 'reality of chaos' is described as external environment of R, and revealed as anxiety for controling R with undefined power. Camera shows this by busy move. That is why this movie keeps concentrating on the outskirts of events rather than the main happening. Characters' deep anxiety is not shown like the novel. There was no change of storyline in the adaptation for the screen of 'Road to the Racecourse'. But there is some figure that can be shown in the film but not in the novel. This novel is quite successful in respect of showing unconsciousness of intellectual through post-modernism skills. But in the movie, it was not as successful as the novel for its lack of capacity to reveal writing of meta-fiction and unconscious subject of the intellectual.


Film and novel are created on each different medium which are letter and image. However, since both are based on prologue many, novels produce story lines for films. It used to hold the key to adapt for the screen just like the original, but now they recognize that motive of imagination is also created by difference mediums. And novel's adaptation for the screen makes the difference between two mediums clearer. When the film, 'Road to the Racecourse' was being on show, the most concentrated point was how the image got shaped by post-modernism novel. In the novel, 'reality of chaos' is the reality that created from R's distorted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 and himself. But in the film, 'reality of chaos' is described as external environment of R, and revealed as anxiety for controling R with undefined power. Camera shows this by busy move. That is why this movie keeps concentrating on the outskirts of events rather than the main happening. Characters' deep anxiety is not shown like the novel. There was no change of storyline in the adaptation for the screen of 'Road to the Racecourse'. But there is some figure that can be shown in the film but not in the novel. This novel is quite successful in respect of showing unconsciousness of intellectual through post-modernism skills. But in the movie, it was not as successful as the novel for its lack of capacity to reveal writing of meta-fiction and unconscious subject of the intellectu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