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지금까지 기지촌 문학은 한반도의 분단 상황을 소재로 창작된 분단문학의 하위 장르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기지촌 문학이 주로 군대 매춘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의 삶을 형상화하고 있기 때문에, 분단으로 인한 비극적 차원에서만 조명할 수 없다. 미군정, 전쟁, 그리고 1960-70년대 개발독재기를 거치며 배제와 동원의 대상이었던 기지촌 여성의 삶은 ‘민족’, ‘여성’, ‘국가’, ‘계급’적 모순이 중층적 이데올로기 구조 속에서 복합적 양상을 띤다. 이 요소들 중 어느 하나만을 편파적으로 강조해서는 기지촌 여성을 본질적으로 파악하기 힘들다. 신식민주의 표상인 기지촌의 매춘 여성 문제는 순결한 민족 상징인 헌신적 어머니의 이미지와 대조되어 민족주의자들이나 엘리트 집단에게 심각하게 인식되었다. 민족 정체성에 대한 확립이 훼손된 남성성을 회복함으로써 가능하다고 믿는 민족 문학자들은 기지촌의 매춘 여성들을 통해 남성의 주체성을 회복시키고자 했다. 그러다 보니 작품에서 남성 서술자는 이들을 피해자와 수동적 여성의 이미지로 획일화시켜 나갔다. 또한 산업화와 근대화로 야기된 서구주의적인 폐해를 매춘 여성의 부정적 이미지로 그려냈다. 이는 남성 중심의 서술자들이 젠더 불평등적 요소를 드러내고 있음이다. 중산층 페미니스트 작가인 강석경은 분명 남성 작가와 다른 젠더적 차이를 여성주의적 시선으로 그려냈다. 양공주의 다양하고 내밀한 부분까지 형상화하면서 여성적 감수성과 인식을 탐구해 갔다. 하지만 중산층 작가라는 게급적 한계로 말미암아 내면화된 가부장적 이데올로기와 여성 내부의 계급적 차이를 인식하기엔 부족했다. 반면, 윤이나와 안일순은 양공주를 노동계급적 입장에서 더 이상 주변화된 존재로서가 아닌 자신의 문제에 침묵하지 않고 주체적으로 대항해 가는 인간으로 형상화 하였다. 이 두 여성 작가의 작품에서는 여성이 민족과 국가가 재현하고 싶은 이미지와 의미의 기표인 동시에 자기 스스로 자신의 인생에 의미를 만들어 가는 주체성을 보였다. 이 작가들은 기지촌의 매춘 여성 역시 민족으로서, 어머니로서 혹은 아내로서 살고 있을 뿐 아니라 또 개별적인 욕구를 갖는 주체성을 지닌 개인으로 인식하였다.


Kijichon literature has been considered a lower level of literature written with subject of division situation of Korean. There is a complex viewpoint that the literature regarding women in military campside town. The women, who is called 'Yang Kong Ju' a prostitute for foreign military troops in military campside town, are featured a complex aspect in the view of ideological structure of spectrum through the contradiction of 'race', 'woman', 'nation' and 'class'. However, it is hard to approach this type of woman in military campside town if one factor is partially emphasized. Since the writers national literature believe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can be realized by retrieving the defamed manhood, they tried to retrieve the identity of manhood through the life of 'Yang Kong Ju' . The novel of Kang Seok Kyung who is middle class Feminist, <Night and cradle> and <Day and dream> describe women-centered view which realizes a clear difference in recognizing gender. They have researched feminine sensibility and cognizance expressing a variety of secret parts, although it is not sufficient to escape from the limitation of middle class writers to recognize internalized patriarchical ideology as well as a class difference within women. Whereas Yun Ei Na's <Baby> and Ahn Il Soon's <Petpeol> depict the woman in military campside town not as subsidiary but as human beings who are not silent about their own problems to oppose against them independe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