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만주국 건국 이전 재만조선인의 이주와 정착, 그리고 추방될 위기를 그려낸 안수길의 소설 <벼>를 분석한 논문이다. 이주 초기(1920) 조선인들은 원주민들과 갈등을 빚었지만 중국의 환영정책에 의해 정착에 성공한다. 하지만 1930년으로 접어들자 중국의 조선인 구축정책으로 학교건립은 중단되고, 이주민들은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위기에 처하게 된다. 무조건 흥분하는 주민들과는 달리 지식인 ‘찬수’는 일본인 나까모도를 통해, 즉 일본 영사관을 통한 정치적 해결을 도모한다. 이들 두고 불가피한 ‘생존전략’이라는 견해와 ‘친일’로 작품의 평가가 크게 엇갈려왔다. 미쓰야협정 이후 중국의 조선인에 관한 태도가 경제적 측면의 ‘환영’에서 정치적 측면의 ‘구축’으로 변화하면서 중국은 조선인에게 가장 큰 위협을 가하는 존재였다. 이를 반영하는 인물이 새로 부임한 ‘소 현장’이다. 현실적으로 중국이 조선인을 탄압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 배경에는 일제의 중국에 대한 침략정책이 작용했다. 일제는 대륙침략정책의 한 방법으로 재만조선인을 이용하려 했으며, 중국은 배일의 차원에서 재만조선인을 압박하고 구축하는 것이 일제 침략으로부터 만주를 지키는 길이라고 믿고 정책적으로 그를 추진했던 것이다. 작품에서 ‘나까모도’라는 일본인이 조선인의 학교 건립을 지원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으나 일제의 지원 목적은 조선인 민족교육에 있지 않고 친일 동화에 있었다.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어 중국 당국으로부터 추방명령을 받은 이주 조선인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길은 명령대로 10년 동안 가꾼 옥토를 놔두고 떠나는 길과, ‘찬수’의 판단대로 나까모도를 통해 일본영사관에 도움을 청하는 길밖에는 없었다. 그들에게는 살아남는 생존이 무엇보다 시급하고 절실한 문제였기 때문에 후자를 선택했던 것이다. 일본에 의존하는 생존법은 오늘의 관점에서는 친일일 것이다. 하지만 보호해줄 나라를 잃어버리고 타국을 떠도는 식민지 백성으로서 그들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할 수 있었을까? 오늘의 우리는 그들에게 저항을 요구할 자격도, 친일을 비난할 자격도 없는 것이 아닐까? 작가 안수길은 <벼>의 결말을 나까모도에게 보낸 사람이 아직 돌아오지 않은 열린 결말로 처리함으로써 노골적인 친일만큼은 피해가고 있으며, 해방 후 결말을 개작함으로써 친일의 혐의를 벗어나고자 했다. 어찌됐든 <벼>는 재만조선인의 만주에서의 이주와 정착과정에서 야기되는 생존의 문제를 객관적으로 그려낸 사실주의적 수작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the paper analyzing An Soo-gil's novel, Rice, which intensively depicts the life of ethnic Korean living in Manchuria that was caused in the danger of China's policy toward them from 1920 to the early 1930's. In the beginning of immigration, Joseon immigrants conflicted with native Chinese, but they settled there successfully under China's welcoming policy. However, in the early 1930's, with the change of China's policy toward Joseon immigrants into the expulsion, the immigrants came to a crisis of being expelled from the homestead of their lives in Manchuria. Unlike the residents who lose their heads, an intellectual, Chansoo, tries to resolve the crisis through a Japanese, Nakamoto. Namely, he attempts to political solution through Japanese consulate. In reference to this, the review of the work is greatly divided into two views; one is that it is an inevitable survival strategy and the other is that it is a pro-Japanese activity. But researchers who judge Rice as the pro-Japanese literature lack the exact historical investigation into the complex and subtle situation in which Joseon people living in Manchria was placed in those days. That is, China, who thought that Japan took advantage of Korean-Manchurian people as a way to invade the continent, pushed ahead with its policy to oppress and expel Joseon people there as part of its anti-Japanese movement. It was believed to be the way to protect Mancuria from Japan's aggression. In the situation in which Chinese attitude toward Joseon people changed from welcoming them in the economical aspect to expelling them in the political reason, which way the Joseon immigrants could choose when they were ordered from the Chinese authorities to leave right away? They could do nothing but leave their fertile land behind, which had been cultivated for ten years or ask the Japanese consulate for help as Chansoo's judgment. Because survival was much more urgent and more vital problem to them than the ethnic pride, they chose the latter. This book depicts Chinese officials' suppression intensively, because Chinese people were the existence of threat to the Joseon people after Misseuya treaty, rather than due to the writer's pro-Japanese intention. In reality, it is true that Chinese oppressed Joseon people, but the policy of Japan's invasion upon China worked in the background. Disappointingly, An Soo-gil's Rice fails to describe the complicated dynamic relations among Japan, China, and Joseon. Nevertheless, Rice is a realistic work that depicts sharply and objectively the life of Joseon people-Manchrians who had to strive for survival while suffering China's exclu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