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특별하고 문제적인 시기인 일제말기에 한국 작가에 의해 일본어 소설만 200여 편이 넘게 창작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 한국문학의 존재 양상에 대한 논의의 여지는 여전히 상당하다. 이 논문에서는 일제말기 작가의식의 변화를 문단의 상황과 이중언어 문제, 독자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루었다. 또한 일본어 소설 중에서 ‘나’를 서술자-작가로 등장하게 한 작품을 중심으로 하여, 일제말기 한국 작가의 작가의식을 재론했다. 이 일본어 소설들에서 ‘나’는 읽고 쓰는 존재이다. 소설 속에서 읽고 쓰는 ‘존재-행위’란 소설가의 ‘나’와 타자 관념을 운반하는 중요한 표상-장치이다. 이를 김남천, 임순득, 이광수, 정인택 등의 소설에 나타난 ‘나’의 형상화 방식을 통해 검토했다.


In the late colonial period—a uniquely problematic period in Korea’s history—more than two hundred novels were written in Japanese by Korean authors. As such, it is meaningful to discuss the diverse aspect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is period. This paper charts changes in the consciousness of Korean authors by analyzing the conditions in literary societies, through problems arising from bilingualism, and by looking at the response of readers. This paper also revaluates the consciousness of author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by considering novels written in Japanese in which the character “I” emerges as an author-narrator". In these novels, it is “I” who reads and writes. That existing/acting “I” of the author, who reads and writes in the novel, is a significant symbol and device that encapsulates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self and other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of “I” in the novels of Kim Nam-cheon, Im Soon-deuk, Yi Gwang-su and Chung In-tae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