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가족의 해체가 부정적 사회현상이고, 가족의 유지와 복원만이 긍정적 사회현상이라는 ‘전통적 가족주의’의 입장에서 벗어나 ‘다양하게 변화되는 가족의 모습을 수용’하고, ‘가족구성원의 조화로운 상생추구’를 목적으로 전후소설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를 형상화하고 있는지 고찰해 보았다. 전후사회에서 가족은 불안과 허무를 보상해주고 상실된 나를 다시 완전한 주체로 회복시켜줄 수 있기에, 사람들은 가족에 집착한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물질적 손실은 극복할 수 있으나, 가족의 재건은 그렇지 않으므로 가족의 문제는 전쟁 후 오랜 시간 동안 사람들을 좌절과 고통에 시달리게 하였다. 가족 개개인의 모습은 개인적인 현상임에 틀림없지만 가족은 사적 영역이면서도 공적 영역과 끊임없는 상호연관 속에 존재하기에 그 시대와 사회를 반영하는 것이다. 특히 남녀 주인공들의 ‘질병’과 ‘도덕적 타락’은 전후사회의 ‘전통적, 가부정적 가족주의의 몰락’과 ‘성역할의 변화’ 등을 예고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1950년대 전후소설이 ‘전쟁의 고통을 극복’하고 ‘가족을 복원’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강신재의 <포말>과 손창섭의 <피해자>를 통해, ‘가족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인식’을, 추식의 <인간제대>를 통해, ‘전쟁 트라우마에 대한 사회와 가족의 관심과 배려’를, 김광식의 <환상곡>과 김동리의 <밀다원시대>를 통해 ‘전쟁으로 변화된 현실의 수용과 일상으로의 복귀’ 등을 제시함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가족해체라는 사회적 현상에 대해 전후소설이 어떤 대답을 하고 있는지 보여주는 것으로 전후소설이 지향해야할 바를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People cling to their families in the postwar society, because it can compensate their anxiety and nihility and recover lost themselves as perfect subjects. Although the material loss due to wars can be overcome, it is difficult to rebuild a family. Therefore, problems related to a family made people be afflicted with frustration and agony for a long time after war. It is fact that the features of each family are individual phenomena, but a family reflects the age and society. Because a family is private area, but at the same time, it exists in the continuous inter-relation with public area. Especially, the 'sickness' and 'moral corruption' of main characters in novels foretell 'destruction of traditional and patriarchal familism' and 'the change of gender role' in the postwar society. In this study, I found that the postwar novels in the 1950s present 'awareness of true meaning about a family', 'interest and consideration of the society and family about the war trauma', and 'the change of general recognition about a family and the acceptance' as the ways to overcome the affliction of the war and to rebuild a family. This shows the answer of the postwar novels about the social phenomenon, family dissolution, and importance in giving the direction that should be taken by postwar no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