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50년대 문학은 한국전쟁의 여파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전쟁의 참상을비극적으로 증언하는 문학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염상섭의 장편 <취우>,<미망인>은 1950년대 상황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볼 가능성을 연다. 이 두소설은 전쟁이라는 사건을 절대화하지 않고 겪어내야 할 사건으로 상대화한다. 전쟁이 일상의 삶에 미치는 영향에 천착함으로써 죽음과 파괴의식의건너편에서 생명력과 희망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그 구체적 단서들은 크게 공간과 서사의 측면에서 발견할 수 있다. 먼저 이 두 소설에서 전쟁공간은 죽음과 폐허의 공간에서 생명의 공간으로탈바꿈된다. 이는 선험적이고 추상적으로 제시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현장 묘사와 일상 묘사를 기반으로 생명과 삶을 향하려는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인물들은 한 공간에 오래 머무르지 못하고 이동하는데 이는 들뢰즈/가타리의 ‘탈주’ 개념이 말해주듯 이데올로기적인 압박으로부터 벗어나려는 적극적인 행위이다. 한편 서사의 초점은 극복과 재건에 맞춰져 있다. 서사를 추동하는 힘은인물들이 자신의 욕망을 추구하는 데에서 온다. 그들의 욕망은 전쟁을 일으킨 이념 갈등과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적 억압을 극복한다. 또 그러한서사를 이끄는 여성인물은 전쟁이 만든 척박한 현실 속에서 생존을 도모하는 생존주체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특성들은 전쟁의 비극과 고통,상처를 서사의 후방으로 돌리고 대신 폐허를 딛고 일어서려는 적극적인 생존의지를 앞세움으로써 1950년대 문학사 안에서 염상섭 특유의 자리를 확보한다.


Korean literature works in the 1950s are mainly feature of witness the horrors of the Korean War. Yeom Sang-Seop's novels <A Sudden Rain>, <A Widow>, among then his works, however, recognize the devastated situation in a different dimension. These two novels relativize the warfare which is object of overcoming, instead not to absolutize the event. It is to emphasize daily life rather than warfare itself, and to magnify the will to live rather than death and destruction. The concrete clues can be found from spatial and narrative aspects. The war made space is filled with death imagery. But the space is passed sooner and replaced by ordinary life with consuming. The space magnifies life instead of death, giving off a life force even in the times of war. Besides, the characters free themselves from crisis by moving from place to place. Moving through space is an escaping action for survival and it neutralizes the death space by repeating the action in the novels. Meanwhile, the narration is focused on making a breakthrough and rebuilding. As the narration unfolded, mainly dealing with dating conflicts and livelihood issues, the conflicts are connected with overcoming the era of war. Hostility to ideology lead them to achieve love without yielding to the idea. Ideology matters to Korean war. Because the conflicts from different political doctrines of the south and north triggered the war.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between the narration that overcoming ideological ideas and something that overcoming ruins. The stories are developed by female characters. They resolve the conflicts in the devastated reality and grapple with their livelihood issues. In conclusion, <A Sudden Rain>, <A Widow> bring the will to live by rising from the ashes of war to the fore and put a grief, an anguish,and a hurt to the behind. These characteristics have Yeom Sang-Seop distinctive position in the 1950s literatur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