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김학철은 초기 조선족 문학의 대표 작가로 항일운동 체험을 중심으로한 문학세계를 갖고 있다. 본고에서는 <격정시대>가 작가 김학철의 원체험인 조선의용대 항일투쟁을 형상화한 자전소설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기억이 소설의 형식을 통해 근대적 서사로서 탄생해야만 했던 당위성을 밝히고, 소설에서 기억된 만주가 어떤 공간적 자질을 갖는지 살피며, 인물의정체성 형성 과정은 어떠한지 추적해 보고자 하였다. 소설이라는 문학 형식은 근대의 국민국가화의 문제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이에 식민지화를 통해 병리적 근대를 맞이하고, 국민국가화에서근본적으로 소외되어 있는 식민지인으로서 망국이라는 사건에 맞선 항일투쟁을 서사로서 말하는 김학철의 소설 쓰기는 국민화를 염원하는 시대적 요청이었다. <격정시대>에서 만주는 조선의용대 항일투쟁의 역사가 쓰이는 중요한혁명의 공간으로 나타나 있다. 식민지주의 침략에 의해 조국에 있으면서도고향땅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부조리를 경험한 망명자들로 구성된 조선의용대는 잃어버린 나라의 독립을 응원하고 일본 제국주의를 반대하는 국제주의가 구현된 만주에서 ‘장소애’를 느끼며 희망을 찾고자 한다. 성장소설의 측면에서 볼 때 주인공 선장이는 장소애가 형성된 공간 만주에서 공산주의자로 거듭나게 된다. 힘없고 비루한 친부의 자리를 대체하는 것은 친부를 살해한 나쁜 계부인 일본제국이 아니라 나쁜 계부를 물리칠 수 있는 힘 있는 아버지인 공산당인 것이다. 다시 말해 국제적 공산주의는 망해버린 아버지의 공백 상태를 메울 수 있는 강력하고 거대한 대타자로 기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소설 <격정시대>는 잃어버린 고향땅 대신 투쟁과 희망의 땅으로서 장소애를 형성했던 만주를 형상화하고 있으며, 목숨을 내걸고 항일투쟁을 벌인 조선의용대의 숭고한 행위를 기록하기 위한 역사의 기념비화작업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현재적 의의를 갖는다. 한편 희망의 땅으로 표상되는 만주와 낙천적 서사 이면에는 식민지 공산주의자로서 정체성의 균열 지점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Kim Hak-cheol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initialKorean-Chinese literature whose works are focused on anti-Japanesemovement experiences. This stud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Passionate Era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on Korean volunteercorps, explores memory theories in order to reveal Manchuria’s spatialqualities, the process of character’s identity formation and theappropriateness of the novel emerging as a modern epic. If novel is a type of literature that is closely attached to modernnation-state problems, Kim Hak-cheol’s writing was the demands ofthe times when he, fundamentally alienated from the nation-state,narrated the anti-Japanese struggle against modern pathology. In Passionate Era, Manchuria is a critical place of revolutionwhich shapes the Korean volunteer corps’ history of the anti-Japanesestruggle. The Korean volunteer corps consists of refugees, who haveexperienced the absurdity of being alienated from their ownmotherland due to colonialism. Nonetheless, they seek for the hope ofnational independence with topo-philia in Manchuria, whereinternationalism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implemented. Thus, Kim Hak-cheol’s Passionate Era represents Manchuria as,instead of lost homeland, a land of struggle and hope evoking topo-philia. It commemorates the history of the Korean volunteercorps’ noble act of Anti-Japanese struggle upon their lives. Inaddition, it also reflects the strong desire for the Other that colonialKoreans, isolated from the colonial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summon as to respond to the uncertainty of be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