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가정잡지(家庭雜誌)』는 주로 부녀들을 대상으로 순 한글로 발행되었다. 단재는 『가정잡지』 제2년 제1호를 편집 발행하였다. 그는 아동 및 부녀의 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들을 계몽하려 노력하였다.『가정잡지』를 통해서 단재의 한글 글쓰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단재는 이 잡지에 논설평론뿐만 아니라 ‘잡보란’, ‘백과강화란’, ‘가정미담란’ 등에 여러 편의 글을싣고 있는데, 달리 이 시기 한글을 능숙하게 구사했음을 알 수 있다. 특히이 잡지에는 <익모초>가 실렸는데, 그것은 애국계몽기 창작된 단재의 첫소설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 잡지는 단재 문학의 또 다른 원점을 보여주는 것으로 평가된다. 단재의 서사문학의 계보는 크게 3계열로 대별할 수 있는데, 제1계열은『 을지문덕』, <이순신전>, <최도통전>, <류화전(柳花傳)> 등 애국 계몽의특성을 잘 보여주는 역사 전기물이며, 제2계열은 <수원 이생원>, <무명 방백의 부인>, <익모초>, <백세 노승의 미인담> 등 일화와 같은 역사적 전승물을 통해 형상화한 이야기의 형태이고, 제3계열은 <지구성미래몽>, <꿈하늘>, <룡과 룡의 대격전> 등 꿈과 같은 환상적 현실을 추구하는 알레고리이다.『가정잡지』에 실린 서사들은 제2계열의 형성 및 전개를 잘 보여주고있다. 즉 <수원 이생원>, <조광조와 김모의 부인>, <무명 방백의 부인> 등에서는 설화를 그대로 수용하여 소개하였지만, <익모초>에 이르러 소설적형상화를 보여준다는 점이다. 그러한 모습을 더욱 여실히 실현한 작품이일제 강점기에 쓴 <백세 노승의 미인담>이라 할 것이다.『가정잡지』에 수록된 작품들은 단재의 한글 글쓰기를 새롭게 이해하고, 또한 그의 서사 작품의 계보와 흐름을 잘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A Family Magazine aimed at women was usually published in pure Korean language. We knew that Danjae had written a lot of works in A Family Magazine. He paid attention to education of children and women and tried to enlighten them. That was because he thought that a family could be the basis of a nation, our nation and women could contribute to the nation by being a model. We discovered a typical style of Danjae's Korean writing from A Family Magazine. He published several works in that magazine, having an excellent command of contemporary Korean written style. The magazine was evaluated as another turning point of Danjae's literature. Danjae's narratives can be classified as follows:. (1) Eulji Mundeok → “Life of Yi Sun-shin”→ “Life of Choi Dotong”→ “Life of Yuhwa” (2) “Mr Lee in Suwon”· “Unknown Governor's Wife”→ “Motherwort”→ “A Tale of the Beauty Told by 100 years Old Monk” and etc (3) “Future Dream of the Earth”→“Dream Heaven”→“The Fierce Strife between Two Dragons” While the first line is defined as historical and biographical literacy which shows patriotic enlightening features, the second one is a story form embodied through anecdotes like historical heritage, and the third one is allegory which pursues fantastic reality like a dream. The narratives published in A Family Magazine are meaningful in that they show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second line. Even though his literary work such as “Mr Lee in Suwon” and “Cho Kwang-jo & Kim’s wife” was no higher than to introduce the tales, “Motherwort” tended to be formulated as a novel. “A Tale of the Beauty Told by 100 years Old Monk” created under Japanese occupation was certainly the work which clearly showed this feature. Danjae’s literary works in A Family Magazine are invaluable because they help us understand his Korean writings newly and also show the flow and genealogy of his narrat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