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여성 새터민들의 입국이 남성에 비해 급증하게 되면서, 이들에 대한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본 글에서 특히 관심을 갖는 부분은 여성 새터민들이 자녀돌봄 문제로 노동시장 진입이 남성에 비해 제약될 수 있다는 점이다. 여성 새터민들은 남성과 달리 탈북 후 제3국에서 장기간 체류하면서 결혼, 출산 과정을 거치게 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남한 입국 이후 또 다시 자녀를 출산한 경우 이중, 삼중의 자녀 부양과 돌봄에 대한 책임을 안게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여성 새터민들이 단독 입국 내지는 배우자 없이 자녀와 입국 하는 비율이 최근 들어 늘어나면서, 이들의 경우 부모나 친지 등의 가족 관계를 통해 자녀 양육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신뢰할 만한 공적 자녀 돌봄 지원 서비스가 뒷받침 되지 않을 경우 노동시장 진입이 제약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상과 같은 상황으로 여성 새터민, 특히 모자가정의 빈곤화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으며, 이는 나아가 새터민 가족 갈등과 해체, 빈곤의 세대 전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부분이다. 본 글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토대로 여성 새터민들이 탈북 후 제3국 체류 중 형성된 모-자 관계로 인한 돌봄 문제와 남한 입국 이후 자녀 돌봄이 직업훈련과 취업, 직장 생활 유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를 선행 연구의 통계 자료를 토대로 분석하고, 이들의 노동시장 진입을 위한 취업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With the abrupt increase to the number of female saeteomins entering South Korea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there has been a constant need to provide supports for them from the gender cognitive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investigator took interest in their childcare issues as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could be more limited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Unlike their male counterparts, female saeteomins get married and give birth to babies during a long stay in a third nation in many cases. Their responsibilities for child rearing and childcare often double or triple when they give birth to more babies in South Korea.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adual increase to the number of saeteomins that enter South Korea alone or with their children without their spouses next to them, which means they cannot resort to their parents or relatives in regard to child rearing issues. If they get no support from reliable public childcare service, their entry into the labor market will inevitably be limited. Such a situation also raises the possibility for the pauperization of single mom families led by female saeteomins and further for conflicts, family breakup, and transference of poverty to the next generation in those families.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to pay attention to those issu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ose issues, the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f previous studies on the subject to investigate saeteomins' childcare issues over their children that were born during their stay in a third nation after escaping from North Korea and the influences of their childcare on their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and keeping a job in South Korea. Using the results, I also suggested plans to support their employment and help them enter the labor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