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에서는 김광균의 초기시의 대표작인 「雪夜」와 「瓦斯燈」을 중심으로 그 시적 코드 원리를 탐색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단지 표면에 나타난 시적 정서와 이미지만을 분석하여 두 텍스트가 별개의 시적 원리에 의해 산출된 것으로 본다. 하지만 그것이 텍스트로 구조화되고 있는 시적 코드 원리를 분석해 보면 동일한 것으로 나타난다. 이런 점에서 시적 코드 원리에 대한 분석은 그의 텍스트를 통합적으로 규명하는 데 유용한 방법이 될 것이다. 김광균은 ‘상/하’ 대립, ‘외부/내부’의 대립을 전제로 해서 시적 정서를 공간적 코드로 구조화한다. 「설야」의 경우, ‘흰 눈’에 대한 화자의 시적 정서는 ‘설렘(상방-처마 위)/슬픔(하방-뜰)’의 대립적 코드로 구조화된다. ‘상/하’를 매개하는 것은 ‘흰 눈’과 그 눈을 직접 맞고 있는 화자의 ‘몸’이다. 그리고 다시 화자의 몸은 ‘내면공간(마음)/외부공간(흰 눈)’의 수평적 대립 코드로 분화한다. 그 몸의 코드에 의해 하방공간에 쌓이는 흰 눈은 여인의 ‘무정한 마음/유정한 마음’의 모순된 감정을 동시에 담은 이미지로 전환하게 된다. 여기서 화자가 그 여인의 모순된 감정을 모두 수용하고자 할 때 바로 슬픔이 생겨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해서 텍스트는 차갑고 무거운 하강의 공간적 의미를 산출한다. 「와사등」은 「설야」의 시적 코드 원리를 변환하여 구축한 텍스트이다. 즉 ‘설렘(처마 위)’은 ‘텅비다(하늘)’의 코드로, ‘슬픔(뜰)’은 ‘가득차다(도시)’의 코드로 변환되고 있다. 그리고 ‘상/하’를 매개하던 ‘흰 눈과 몸’은 ‘등불과 몸’의 코드로 변환되고 있다. 정리하자면 ‘도시’에 대한 시적 정서는 ‘텅비다(하늘)/가득차다(도시)’의 대립적 코드와 몸의 ‘내면공간/외부공간’이라는 대립적 코드로 구조화되고 있다. 이때 하늘에 걸린 ‘등불’은 세속적 이미지로써 가득찬 도시의 공간(무거움)에 부정성을 부여하고 탈속적인 하늘(가벼움)에는 긍정성을 부여한다. 이렇게 소재의 풍경만 다를 뿐, 그 코드 원리는 「설야」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난다. 마찬가지로 화자가 ‘도시의 길’과 ‘하늘의 길’을 통합하고자 할 때 비로소 슬픔이 생겨나고 있다. 그래서 김광균은 하방공간인 도시에 구속된 슬픈 존재가 되고 있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etic code principles represented in Kim Kwang Kyun's early poems, focusing on Sul-Ya and Wasadeung. Because previous research only analyzed the poetic images and sentiments on the surface, these two poems have been thought that they were produced by two different poetic principles. However, if we analyze its poetic code principle, which is structuralized in texts, these two poems are identical to each other. In this regards, the analysis of poetic code principle will be a useful method for investigating Kim Kwang Kyun's text as a whole. Kim Kwang Kyun structuralizes his poetic sentiments into spatial codes, which are based on the contrast of top/bottom and interior/exterior. In the case of Sul-Ya, the speaker's poetic sentiment about 'white snow' is structuralized into an opposite code: 'excitement (the upper part- above the eaves)' and 'sadness (the lower part- yard)' The connecting parts between the top and bottom are 'white snow' and the 'body' of the speaker who is getting snow. Then the speaker's body is divided into 'interior space (mind)' and 'exterior space (white snow)' which is a opposing code. The white snow, which is accumulated at the lower space by the body code, turns into an image that has a paradoxical emotion; a woman's heartless and sympathetic mind. When the speaker tries to accept these two opposing sentiments, the sadness emerges. Thus, the text produces a falling spatial meaning, which is also cold and heavy. Wasadeung is a text based on the transformation of the poetic code principle of Sul-Ya. The code, 'Excitement (above the eaves)' is changed into the code, 'become empty (sky)'. Also, the code, 'sadness (yard)' is replaced by the code, 'become full (city).' In addition, the code 'white snow and the body,' which connects the top and the bottom, is transformed by 'lamp and body.' The poetic sentiments about 'the city' is structuralized in two opposing codes: 'become empty (sky)'/ 'become full (city) and 'interior space/exterior space.' The lamp in the sky throws a negative aspect on the city's space that is filled with secular images and a positive aspect on celestial sky (lightness). Although the scenery of Wasadeung is different from that of Sul-Ya, the poetic code principle is identical. Likewise, when the speaker tries to integrate 'the road of the city' and 'the road of the sky,' the sadness is finally generated. Therefore, Kim Kwang Kyun has become a sad existence who is imprisoned in the lower part, the c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