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병화의 시적 삶은 죽음 의식을 중심에 두고 살펴 볼 때 가장 정확하고 명징하게 이해된다. 그의 시 세계에서 독창적으로 등장하는 고독, 사랑, 이별, 허무 등의 이미지는 죽음 의식에서 연원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의 죽음 의식은 하이데거의 죽음으로 인한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도달하는 ‘무의 지점’과 상응한다. 하이데거에게 죽음에 해당하는 ‘무’의 지점은 타성적인 일상성에서 벗어나서 단독자로서의 자신의 존재성과 만나는 곳이다. 조병화의 시적 삶은 이와 같이 ‘무’로서의 죽음의 직시를 통해 자신의 본래적 삶을 추구하는 양상을 선명하게 보여준다. 그는 죽음을 회피하지 않고 불안에의 용기를 통해 직시함으로써 죽음의 의미와 삶의 가치를 인식해 나간다. 그리고 여기에서 더 나아가 죽음을 미리 인식하는 죽음의 선취를 통해 자신과 세계를 전체적이고 입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구현해나간다. 그래서 그의 시 세계에서는 삶 속에 죽음이, 만남 속에 이별이, 공존 속에 고독이 내재하는 특성을 보인다. 한편, 그의 죽음의 선취를 통한 본래적 삶의 구현은 점차 죽음을 향한 자유와 삶의 영원성으로 구체화된다. 그에게 죽음 의식의 심화는 더욱 가치 있고 성실한 삶의 태도론으로 이어진다. 주로 ‘어머니’를 매개로 전개되는 죽음의 표상은 삶의 성실성의 당위성을 강조한다. 또한 이러한 죽음의식이 세대론적 순환론으로 인식되는 지점에 이르면 삶의 영원성으로 노래된다. 개체적 단절이 계통적 영원성 속에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병화의 시적 삶은 유한자로서의 죽음의 결핍을 회피하거나 초월하지 않고 자신의 실존으로 수용하고 긍정함으로써 자신의 본래적 삶을 직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진정한 자유와 자기 구원을 이루어나갔던 것이다.


Byung Hwa Cho’s poetic life can be accurately and clearly understood when you look into it by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of death. Some images such as solitude, love, farewell, futility, transcendence are originated from the consciousness of death in his poetic world. His consciousness of death corresponds ‘nought point’ which reaches through the anxious courage by Heidegger’s death. The ‘nought’ point means Heidegger’s death and it is the place where it meets his own existence beyond the inert dailiness. Like this, his poetic life obviously shows us the aspect which seeks for this primary life through the direct view for death as ‘nought’. He did not avoid the death and came to realize the life values by facing it with anxious courage. Furthermore, he generally understood his own world by recognizing and preempting the death. So his poetic world has the characteristics such as life with death, live with farewell, coexistence with solitude. On the other hand, the primary realization for life through his preemption for death is materialized with freedom and eternity for life towards death. The reinforce of the consciousness of death leads to the valuable and sincere life attitude. Mainly, the symbol of death which is followed with ‘mother’ as an intermediation emphasizes the justifiability for sincere life. Also, this consciousness of death recites the eternity of life when it is realized as a generational circulation. It is that the individual severance is recognized with systematic eternity. His poetic life achieved his real freedom and his own salvation not by avoiding or transcending the death as a finite but accepting and affirming as a sub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