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대관령 국사성황을 중심으로 하는 강릉단오제의 제의적 성격을 밝혀주는 역사적 증거들은 여러 문헌들을 통해 각종 기록과 설화의 형태로 전승되고 있다. 우선, 허균의 시문집인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는 ‘대령산신찬병서(大嶺山神贊並序)’가 있는데, 거기에 그가 어느 여름 강릉에 가서 단오제를 구경한 기록을 전한다. 1933년에 발간된 『증수임영지』(增修臨瀛誌)에는 접신한 나무를 국사(國師)로 칭하고 이를 성황사에 모셨다는 것과 이러한 제의의 주관 계층이 호장으로 분명하게 제시되고 있다. 현재 범일국사(梵日國師/泛日國師)를 국사성황으로 직접적으로 언급한 기록은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이 1936년 조선의 사상에 관한 조사의 일환으로 230곳을 답사하여 집필한 조사보고서 「부락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사성황의 정확한 의미와 강릉단오제 주신(主神)으로의 좌정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이규대의 연구에 따르면 숭유억불을 표방했던 조선의 이데올로기에 맞서 미타계를 주도한 향리들이 범일을 국사성황의 자리에 올리고 사회적 헤게모니를 강화하려 한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대관령국사성황과 연관되는 설화가 대관령 국사여성황이다. 호환(虎患)에 죽은 여인이 국사여성황으로 자리하는 것은 호신앙과 무속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다. 이를 통해 대관령에 있는 국사성황과 민가에 있는 여성황이 서로 연결되는데, 이는 선계와 속계가 하나로 이어지는 고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강릉단오제의 오늘이 있게 한 그 힘의 원동력은 그 뒤에 숨어 있는 신화의 힘이다. 이야기의 힘은 크고 원대해서 온 우주․한 나라․한 민족․한 지역의 뿌리와 정체성을 부여한다. 국사성황인 범일국사, 그의 세속적 현신을 위해 덧붙여진 국사여성황은 오늘의 강릉과 강릉단오제의 역사적 원류를 다시금 확인시켜 준다. 작가 윤후명에게 강릉단오제와 국사성황은 고향이라는 이름의 정체성을 재확인시켜주는 신탁의 매개가 되었고, 작가 이광식에게 범일국사는 강릉의 지역적 정체성과 그 역사적 실체를 해명케 하는 모티프가 되었으며, 작가 김도연에게 대관령과 강릉단오제 설화는 아흔아홉 굽이 길의 가치를 확인하며 그 길 위에 깃든 이야기 속에서 비로소 얻게 되는 용서와 회복의 메타포가 되었다. 신화를 잃은 민족은 미래가 없다. 이때 말하는 미래는 서양식 절대주의나 근대적 효율성을 신봉하고 이에 기반하여 더 빨리, 더 많이, 더 멀리라는 이념을 실현하는 데 골몰하는 잔혹한 시간이 아니다. 이 잔혹함에 맞서 우리는 축제라는 일탈의 시간을 예비하고 있지 않은가. 강릉단오제는 바로 신화를 꿈꾸고 이를 통해 인간과 신이 하나가 되어 카니발을 벌이는 가운데, 스스로를 이해하고 세계의 생생화육하는 에너지를 만끽하는 축제다.


Historical evidence to light the ritualistic attribute of the Gangneung Dano Festival which is centered around the Daegwallyeong Guksaseonghwang(大關嶺 國師城隍) have been handed down in the form of various records and background story through the documents. First, the Heo Gyun’s selection of prose and poetry 『Seongsobubugo』(惺所覆瓿藁) conveys the record there he went to visit one summer Gangneung Dano Festival. 『Jeungsu(Enlargement)imyeongji』(增修臨瀛誌), published in 1933, has a God tree called Goksa(國師) and deify at Seonghwangsa(城隍寺), the management was held this ritual has been clearly presented as Hojang(戶長). Record directly mentioned the current Bumilguksa(梵日國師/泛日國師) to Guksaseonghwang are reserves Murayamajijun (村山智順) written by one of the 230 places to explore as part of a survey of Korean history in 1936 research report 『Burakjae』(部落祭). Nevertheless, Guksaseonghwang certain means and serve as the main God of time, Gangneung Dano Festival is not clear. According to Lee-gyudae’s study, Hyangli(鄕吏) have led to Mitagae(彌陀契) against the ideology of the joseon(朝鮮) that policies to venerate confucianism and suppress Buddhism, want to enhance the social hegemony in place of the Guksaseonghwang(國師城隍) Beomil(梵日) raised. Daegwallyeong Guksaseonghwang(大關嶺 國師城隍) and legends are associated with a Daegwallyeong Guksayeoseonghwang[大關嶺 國師女(female)城隍]. Get eaten by a tiger that is the woman that God has the important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of tiger. This can be seen through that God’s domain and villagers living ring is one of the leading roles. The driving force of the power that makes today’s Gangneung Dano Festival is the power of myth behind it. The power of the story is a large circle about the universe, One country, One Nation gives the roots and identity of the region. Gangneung Dano Festival and Guksaseonghwang has become the medium of the writer Yun Hu-myong trust to reaffirm the identity of the name of homeland. To the writer Lee Kwang-Sik Bumilguksa was a motif that populated regional identity and clarify the historical reality of Gangneung. Daegwallyeong and Gangneung Dano Festival stories to writer Kim Do-yeon will check the value of the road and turn ninety-nine was a metaphor of forgiveness and restoration that began to get in the story dwells on its way. There is no future nation lost a myth. Gangneung Dano Festival is just dreaming the myth is the one through which humans and the Gods of the grab Carnival, the festivities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enjoy the vibrant energy of the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