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안수길의 해방전후 “만주” 서사에서 민족주의의 주요한 표상의 하나인 민족 인식에 대해 타민족과의 관계 즉 중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안수길의 만주국 시기 소설에 나타난 민족관계는 대체로 “민족협화”에 기초하고 있는데, 청국인에 대해서는 우호적 시각과 함께 연대의 사상을 강조한 반면 일본인에 대해서는 그다지 조화롭지 못하고 껄끄러우며 분명한 거리 두기를 하고 있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의 진정한 주인을 만인 즉 인구의 대다수를 점하는 한족과 만족으로 보았기 때문이며 지배적 위치에 있는 일본인은 그저 남의 땅에 침입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조선인은 생존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남의 땅”에 이주해 살지만 일본인과 같은 지배자가 아니며 또 그렇게 되어서는 안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해방 후, 안수길의 “만주” 서사의 대표적 작품인『북간도』는 이와는 매우 다른 민족관계를 보여주었다.『북간도』는 “간도는 우리 땅”이라는 고토 회복론에서 출발하여 청국인과의 원론적인 대결과 항일독립투쟁을 전면에 부각시킨다. 이는 안수길이 만주 이민을 “우리 땅”에 농사 지으러 간 당당한 역사와 항일독립운동사 중심으로 서사화함으로써 만주 출신 전재민의 민족적 주체성을 세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독립군이었던 정수가 스스로 일본 경찰에 자수하는 것과 독립군이었던 아들 정수를 자수하도록 권고하는 창윤의 변화는 일본의 간도 침략 정책에 서서히 침윤되어가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며 이는 안수길의 만주 체험의 원형이 은밀하게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북간도』에 나타난 청국인과 일본인과의 관계는 만주국 시기 소설에서 보여주었던 청국인과의 연대와 일본인과의 거리 두기와는 매우 다르다. 이는 만주국 시기에는 일본의 검열법 통과와 함께 친일에 대한 부담을 안수길이 느끼지 않을 수 없었으나, 해방후의 남한에서는 만주 출신 전재민들의 친일 전적이 크게 문제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의 만주 체험의 원형이기도 했던 일본과의 타협이 은밀하게 작동했던 것이다.


This thesis discussed about the national recognition in An Soo-gil's novel, as an important symbol of nationalism, by observing the relations with other nationalities like Chinese and Japanese. The national relations in An Soo-gil's novel during Manchu empire period were mostly based on the "Ethnic Harmony". The friendly attitude and close connection towards Chinese in Qing dynasty was emphasized while disharmonious and uncomfortable feeling and also distinct sense of distanc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was emphasized on the opposite, which was the result of An Soo-gil's view that Manchurians and the Han people who took the largest part of the population were the real master of Manchukuo, Japanese who took the dominant position were only the aggressors and Koreans as the immigrants who had to move and settle on the "other's land" for survival were different from Japanese dominants and also could not become the same dominants. However, after the liberation, An Soo-gil's Bukgando as the representative work of his novels about "Manchukuo" showed a very different national relations to readers. From the view of the recovery of native land, Bukgando announced that Gando was our territory, tried to arouse the confrontation with Chinese for the fundamental reason and totally highlight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struggle. An Soo-gil tried to set up the national identity of refugees in Manchu by narrating the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history that the Koreans immigrants had immigrated into Manchu to do farm work on "native land" as a resonable historical fact. However the event that Jungsu, a soldier of national independence army before, gave himself up to the Japanese police and the change of his father, Changyun, who had persuaded Jungsu to give himself up showed the fact that people were gradually effected by Gando invasion policy of Japan. Meanwhile, this also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An Soo-gil's experience in Manchu. Like this,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Chinese and the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presented in Bukgando are very different from his novels in Manchu empire period which showed the close connection with Chinese and the repulsion towards Japanese. This is because that with the Japanese censorship law in Manchu empire period, An Soo-gil must have felt the stress of pro-Japanese and tried carefully to get rid of the suspect but in South Korea after the liberation, pro- Japanese experience or behavior of the refugees from Manchu before might not arouse big problems. This may also be seen as the prototype of his experience in Manchu and the result of his convert compromise towards Jap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