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한편으로는 서구 내부에서 축적된 반성적 사유와 다른 한편으로는 구미중심주의에 대한 비서구의 반발의 결과로 태동한 포스트콜로니얼리즘 혹은 탈식민주의는 그 광범한 이론적 배경만큼이나 다양하고 입체적인 미학적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서구의 탈식민주의 이론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의 다종다기한 기존의 문화이론들이 보인 유연성을 튼실하게 전유하면서 동시에 그 문화이론들이 보인 일말의 몰역사성을 건설적으로 폐기하는 급진적인 인식의 한 맹아를 나타내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서구가 현상한 탈식민주의 이론의 미학적 다양성이 반드시 긍정적인 측면으로만 작동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 이유는 동시대의 탈식민주의가 각 진영에 따라 천양지차를 보이는 실천전략의 변별성을 긍정적으로 통합해내는 기제를 마련하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서구와 비서구처럼 정치적 상상력이 전혀 딴판으로 작동하는 공간에서는 오히려 적대적이기까지 한 미학적 대립양상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영어권 아프리카의 문학 나아가 문학사를 새롭게 갱신하고 있는 두 작가, 나이지리아의 치누아 아체베와 케냐의 응구기 와 씨옹오를 비교, 분석하면서 아프리카 내부에서 진행되는 탈식민주의적 글쓰기의 한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아체베와 응구기를 비롯하여 거개의 아프리카 작가들이 벌인 언어논쟁을 통해 아프리카 탈식민주의 문학의 한 풍경을 소개하고 있다.


Contemporary postcolonial aesthetic theory is ambivalent. In the west, postcolonialism seems to be viewed as a deviant form of postmodern multiculturalism. It seems to emphasize an equality and particularity among diverse cultures, customs, values, canons, tastes, languages, and literatures. However, the postcolonial theory from the west takes advantage of its multicultural ideology for the logical justification of late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postcolonialism from Africa introduces new perspectives on the values of aesthetics, literatures, modernity, and postcoloniality. Many of contemporary african writers are providing an interesting example of rewriting or reinscribing the so-called literary history of the world. Chinua Achebe from Nigeria and Ngugi wa Thiong'o from Kenya are the representative writers who are deconstructing the western canons by reinterpreting the true meaning of postcolonial practices in literature. This paper introduces two different tactics of postcolonial theory from Africa.